배너

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5.3℃
  • 구름많음강릉 13.2℃
  • 서울 16.0℃
  • 인천 15.9℃
  • 흐림수원 15.6℃
  • 구름많음청주 19.6℃
  • 구름조금대전 17.9℃
  • 맑음대구 17.3℃
  • 구름조금전주 19.5℃
  • 맑음울산 18.9℃
  • 구름조금광주 17.7℃
  • 구름조금부산 14.7℃
  • 박무여수 16.1℃
  • 흐림제주 16.3℃
  • 구름조금천안 18.4℃
  • 맑음경주시 16.6℃
  • 맑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배너

경북

글로 쓴 대한 '독립 만세'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10월호 발행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재욱 기자 | 한국국학진흥원은 '예술과 문학을 통한 독립운동(경북지역)'이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10월호를 발행했다. 경북은 의병과 독립운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온 지역이다. 우리는 흔히 무장투쟁과 의열투쟁으로 독립운동을 기억하지만, 글로, 음악으로, 그림으로 일제의 탄압과 지배에 저항한 독립운동가도 있다. 이번 호에서는 이들을 기리며 옅어지는 광복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의병항쟁의 중심, 경북 의병장들의 문학

 

'경북지역 의병항쟁과 의병장들의 문학'에서 김항기 연구위원(독립기념관)은 경북지역에서 벌어진 의병활동과 그들의 저항정신이 담긴 문학작품을 소개한다.

 

일제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에 개입하면서 조선에 대한 본격적인 침략 정책을 진행하였다. 이에 대항하는 의병은 전기의병이 봉기한 후 1905년 중기의병, 1907년 후기의병 단계로 나뉘는 범민족적인 저항운동을 펼쳤다.

 

경북지역의 경우 1896년 1월 17일 안동의진을 시작으로 각지에서 창의하였다. 안동의진을 이끈 김도현 의병장은 국가의 안위를 걱정하며 시대를 탄식한 '탄시사歎時事'를 지었다. 그는 망국으로 인해 한몸 묻힐 땅이 없음을 탄식하며 영덕에 있는 관어대에 몸을 던지기 전, 다음의 글을 장손에게 남겼다.

 

  이제야 죽는데 어느 땅에서 죽을고
  옛 나라에 남은 강토가 없으니
  노중련이 죽은 지 수천 년이 되었지만
  밝은 달과 같이 오히려 빛나는구나

 

경북지역 중·후기 의병항쟁의 상징 의병장 이강년. 1908년 51세를 일기로 서대문형무소에서 교수형을 당하기 전 자신이 살아온 역정을 기억하며 다음과 같은 유시를 남겼다.

 

  성패를 어찌 모름지기 말하리오
  조용히 말한 바를 실천했네
  붉은 마음 배양하여 징험하니
  성조의 은혜 감읍하노라

 

1906년 문경의병에 합류하여 이강년과 함께 활동한 의병장 신태식은 '신의관창의가'를 지어 의병 활동을 기록했다. 이 가사는 1907년 죽령 일대에서 벌어진 이강년의진의 접전지, 의병 모집, 주민과의 관계 등에 관하여 상세하게 기록하여 문학을 넘어 역사적 가치도 매우 높다.

 

글에 담은 독립투쟁의 의지를 후대에 전하다

 

이외에도 웹진 담談에서는 '예술과 문학을 통한 독립운동(경북지역)'에 대한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룬다.

 

'광복 특집 만화'<팔원(八院)>에서는 백석 시인의 작품을 이미지화했다. 토속적 어휘와 감각적 표현으로 장면이 눈앞에서 그려지듯 시를 쓴 백석 시인의 동명 작품 '팔원'을 웹툰으로 만날 수 있다.

 

'선인의 이야기, 무대와 만나다'의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휩쓸려 간 북방에서 쓴 대본>에서는 이육사 시인이 쓴 단 한 편의 희곡 <지하실>을 소개한다. <지하실>은 이육사가 다녔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의 졸업식에서 공연된 3편의 연극 중 하나로 단막극의 성격일 것으로 추측된다. 시인 이육사가 아닌 새로운 혁명을 꿈꾸며 불타오르던 이육사를 상상해 본다.

 

<이육사의 시를 쇠귀 민체로 쓴다는 것>에서는 이육사의 정신세계 가치를 글씨의 형태와 구성으로 담아낸 김성장 대표(세종손글씨연구소)가 서예전을 준비하면서 느꼈던 감정과 각오를 담담하게 전한다.

 

'백이와 목금'의 <내 그를 맞아 이 포도를 따 먹으면>에서는 이상한 소리가 들린다는 동굴을 찾은 백이와 목금이 백 년 전으로 타임 워프한 안경 아저씨(이육사), 귀티 아저씨(이상화)를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전해 듣는다.

 

'나무판에 새긴 이름, 편액'의 <임하臨河에서 독립을 외치다, 하락정河落亭>에서는 근대식 학교인 봉양서숙과 인곡서당을 설립한 송기식을 소개한다. 송기식은 1945년 봄, 안동시 남선면 신석리에 봉양서숙과 인곡서당의 정신이 깃든 독립의 하락정을 건립한다.

 

웹진 담談 2024년 10월호는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홈페이지(https://story.ugyo.net/front/webzine/index.do)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구시, '제45회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홍종오 기자 | 대구광역시는 제45회 장애인의 날을 맞이해 17일 오전 11시 두류공원 인라인스케이트장에서 기념식 및 축제 한마당을 개최했다. 이번 기념식은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 이재화 대구시의회 부의장,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장애인단체장 등 4,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기념행사는 '행복을 바라봄, 일상을 담아봄, 희망을 이어봄'이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부대행사와 함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모두 어울릴 수 있는 화합의 장으로 마련됐다. 식전공연 및 사단법인 한국지체장애인협회 대구협회를 비롯한 17개 장애인단체기수단 입장을 시작으로 내빈소개, 인권헌장 낭독, 대회사, 격려사, 축사, 유공자 표창 순으로 진행됐다. 장애인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 등의 의미를 담은 장애인 인권헌장은 이동희 사단법인 대구시각장애인연합회 장애인 인식개선 강사가 낭독했다. 그리고 장애인 유공자 표창은 제11회 대구광역시 장애인대상 수상자 2명(손인호 손건축사 사무소 대표 건축사/광법봉사회)을 비롯한 장애인의 권익 신장과 복지증진을 위해 노력해 온 총 79명의 유공자에게 수여됐다. 기념식과 더불어 오전 10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