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이슈보도팀 | 롯데그룹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외면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롯데그룹의 핵심 지주사인 롯데지주(004990, 최대주주 신동빈)의 외국인 투자자 비중은 2024년 12월 10일 기준 7.41%에 불과하다. 이는 LG(35.11%), 삼성물산(26.46%), SK(23.75%), HD현대(21.4%) 등 주요 대기업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수치다. 지난 지배구조 분석에 이어, 이번에는 롯데그룹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외면받는 이유를 최근 롯데그룹의 현황을 기반으로 여러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기존 사업에 매몰된 구조 롯데그룹의 핵심 사업은 백화점, 면세점, 마트 등 유통 중심이다. 이러한 사업은 안정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으나 큰 성장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지난 11월 롯데그룹의 CEO 구조조정에서도 유통 계열사 CEO들이 대거 살아남은 것은 이 사업의 안정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들은 롯데그룹이 신규 성장 동력을 발굴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한다. 신사업 실패, 투자 시기도 부적절 롯데그룹은 2022년 말 2조 7,000억 원을 투자해 이차전지 동박 제조업체인 일진머티리얼즈의 지분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윤태준(자료 제작 및 분석) 인턴기자 | 롯데그룹(롯데지주 코스피 004990, 회장 신동빈)이 최근 전체 37개 계열사 중 21개사의 대표를 교체하는 책임성 인사를 단행하면서도, 신동빈(시게미츠 아키오)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시게미츠 사토시) 전무는 부사장으로 초고속으로 승진시켰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신동빈 회장의 독선적 인사에 롯데그룹의 지배구조가 퇴행을 자처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유는 간단하다. 신 부사장의 경영 성과가 미비했음에도 아들이라는 이유로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신 부사장이 롯데케미칼(코스피 011170, 대표이사 신동빈, 이영준)에 재직하던 시절, 회사는 계속 실적 부진을 겪었다. 신 부사장이 롯데케미칼 일본 지사에서 상무보로 근무하던 2022년, 롯데케미칼은 (연결 기준) 매출액 22조 2,761억 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손실 7,584억 원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또한, 2022년 4분기에는 매출액 5조 4,959억 원, 영업손실 3,957억 원을 기록하며 수익성이 더욱 악화됐다. 상무로 근무한 2023년 (롯데케미칼의) 매출액은 19조 9,491억 원으로, 영업손실 3,332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롯데백화점이 올겨울 잠실 월드몰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롯데 크리스마스 마켓’을 선보인다. 11월 20일부터 내년 1월 5일까지 47일 동안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유럽 전통의 크리스마스 마켓을 재현하며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대폭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올해 마켓은 약 700평 규모로 조성되며, 41개의 상점이 참여해 크리스마스 오너먼트, 소품, 액세서리, 먹거리 등 다양한 품목을 선보인다. 지난해 방문객 24만 명을 기록하며 큰 호응을 얻은 마켓은 올해도 유럽 크리스마스 문화를 서울에 구현해 연말 대표 행사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크리스마스 마켓에서는 수제 원목 오르골 브랜드 ‘우더풀라이프’, 덴마크 인테리어 브랜드 ‘룸코펜하겐’, 산타 콘셉트의 ‘프레젠트모먼트’ 등이 참여해 독특한 크리스마스 장식을 판매한다. 먹거리 상점으로는 독일 뉘른베르크 소시지로 인기를 끈 ‘카페인 신현리’와 깨먹는 티라미수로 유명한 ‘하트 티라미수’ 등이 참여해 다양한 미식을 선보일 예정이다. 체험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와 회전목마, 포토존, 소원의 벽 등이 설치되며, 입장객은 회전목마를 무료로 이용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