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보톡스 1세대 '메디톡스'.. 줄소송 휘말린 근황, 투자하신 분 필독 -기사원문 [ESG 칼럼] 보톡스 1세대 메디톡스, 유죄에도 CEO는 빠졌다 -영상편집 : 곽중희 기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ENG] 보톡스 1세대 깅버 메디톡스, 유죄에도 CEO는 빠졌다..한국의 ESG는 어디로 가고 있나. -기사원문 [ESG 칼럼] 보톡스 1세대 메디톡스, 유죄에도 CEO는 빠졌다 -영상편집 : 곽중희 기자
<ESG 칼럼, 필진 의도>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공부하고 취재하며 알게 된 가장 큰 특징은 많은 기업의 오너들이 법망만 피해가면 회사의 경영에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빠르게 변하는 시대 속에서 이제 경영을 잘하는 기준은 "얼마나 빨리 돈을 많이 버느냐"에 국한되지 않는다. 경영 속 모든 이면이 들어나고 있고, 그 시대에 살아남는 기업은 바른 경영 철학을 가지고 성장해가는 기업이다. 본지는 여러 ESG 평가 기관의 평가 기준을 토대로 여러 기업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분석하고, 기업 오너들의 철학과 경영 방식을 진단하고자 한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내 보톡스 1세대 기업 메디톡스(코스닥 086900)의 정현호 대표이사가 지난 2월 열린 1심 형사재판에서 ‘범행 공모 또는 지시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받았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법원의 결정이 모든 책임을 면제해주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법적으로 무죄’일 뿐, 오너와 경영진이 도덕적으로 무결하다고는 볼 수는 없다. 공교롭게도 지난 13일 국내 ESG 평가기관 한국ESG기준원은 메디톡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최민준 기자 | 메디톡스(코스닥 086900, 대표이사 정현호)는 최근 임원의 중대한 법 위반 행위로 인해 ESG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14일 한국ESG기준원은 메디톡스의 지배구조(G) 등급을 B에서 C로, 통합 등급도 B+에서 B로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조정 사유는 약사법 위반 및 임원의 중대한 법 위반 행위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메디톡스의 약사법 위반 혐의는 현재 소송 진행중이다. 1심에서 정현호 대표에게 무죄 판결이 나왔지만, 함께 기소된 공장장 A씨는 징역 3년을 선고 받고 법정 구속됐다. 이로 인해 회사의 기업 가치에 심각한 훼손을 초래했으며, 외부 평가 기관들로부터 경영의 투명성과 책임감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 기업의 지배구조와 관련된 비판이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으며, 메디톡스는 향후 법적 대응과 더불어 기업 내 윤리 경영 강화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