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많음제주 29.8℃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가맹점도 국감도 외면한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온·오프라인 가격차별로 가맹점주들을 외면한데 이어 국감 소환도 한차례 거부해 논란이다.

지난 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아모레퍼시픽이 운영하는 가맹사업 3개 브랜드 가맹점은 아리따움이 306곳, 이니스프리가 204곳, 에뛰드가 151곳 등 총 661곳이 폐점했다.

 

지난해 서 회장은 ‘온라인 전환 가속화’를 선언했다. 아모레퍼시픽은 AP(아모레퍼시픽)몰, 아리따움몰 등 온라인몰을 운영하며 가맹점보다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판매하고 온라인 전용 기획상품을 내놓는 등 온라인 사업에 집중했다.

 

실제로 아모레퍼시픽의 세럼 가격은 오프라인 2만4000원, 온라인 1만4430원으로 40%가량 온라인 몰이 더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는 등 대부분의 제품이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이 3~40% 가량 더 저렴하다.

 

또 ‘가맹점 사업’에서 ‘가맹점’이 차지하는 판매 비중도 낮아지고 있다. 유 의원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가맹사업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아리따움의 경우 전체 매출 가운데 63%만 아리따움 가맹점에서 발생했고, 나머지 37%는 쿠팡과 CJ올리브영 등에서 발생했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가맹점에 공급되어야 할 제품의 37%가 가맹점이 아닌 이외의 곳에서 팔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서 회장의 온라인 가속화 정책으로 가맹점과의 갈등이 본격화 됐다.

 

지난해 11월 200여 명의 이니스프리 가맹점주들은 공정거래위원회 서울사무소에 아모레퍼시픽을 6가지 불공정 가맹사업거래 행위를 근거로 신고했다. 근거는 온라인 전용 기획상품, 온·오프라인 가격차별 등이다.

 

또 아모레가 운영하는 이니스프리·아리따움 로드숍 가맹점들은 지난해 3월 '전국화장품가맹점연합회'를 발족하고 본사에 문제 제기를 하며 반발했다.

 

아모레퍼시픽 로드숍들의 본사 직영점 비율은 10% 미만이다. 코로나19 사태 여파에다가 디지털 전환 정책을 강화하면서 아모레퍼시픽 폐점 가맹점은 더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아모레퍼시픽이 온라인 시스템을 강화하는 이유는 코로나19와 같은 시대적 상황이나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발맞추고, 또 경쟁업체에 밀리면서 온라인으로 시선을 돌려 온라인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아모레퍼시픽이 가맹점주들을 외면한 채 온라인을 통한 이익 창출에만 혈안이 돼 ‘상생’에는 소극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러한 논란은 지난 8일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도마에 올랐다.

 

지난 6일 서 회장은 8일로 예정된 국감에 증인으로 채택됐지만 정형외과에서 발급 받은 ‘고열 및 근육통 증상을 보여 안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진단서를 제출하며 출석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서 회장의 불출석에 대해 가맹점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을 피하는 모습이라며 수장으로서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은 오는 22일 열리는 국회 정무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등 종합감사 증인으로 재채택 됐다. 유의동 국민의힘 의원이 서 회장을 재요청해 다시 신청된 상태다. 서경배 회장이 이번에는 국감장에 출석해 논란에 대한 답변을 내놓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펠로톤 플랫폼, 마이크로소프트 인도네시아 중앙 클라우드 리전에서 제공 시작

캘거리, 앨버타주, 2025년 7월 15일 /PRNewswire/ -- 에너지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두 기업인 펠로톤(Peloton)이 자사의 펠로톤 플랫폼(Peloton Platform)이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기반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인도네시아 센트럴(Microsoft Indonesia Central) 클라우드 리전에서 제공된다고 발표했다. 동남아시아 지역 고객들의 클라우드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번 인프라 구축은 에너지 탐사 및 생산 기업들에 탁월한 경험, 향상된 성능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전 세계 에너지 기업들은 펠로톤 플랫폼을 통해 보안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클라우드 기반 환경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함으로써 운영 최적화에 집중할 수 있다. 펠로톤 플랫폼은 다음 솔루션을 통해 통합된 단일 정보 소스를 제공한다. 유정 데이터 라이프사이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업계 표준 데이터 관리 솔루션으로, 실시간 시추 및 완료 데이터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를 포함하여 유정 계획부터 복구까지 워크플로 포괄 무결성 및 신뢰성 데이터 관리: 조직이 유정 이상 관련 위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