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 IFA, 베를린에서 개최

-- 2023년 9월 1~5일, 지속가능성과 AI를 중심으로 진행

-- 2023년 베를린 IFA 가전 박람회의 미디어 파트너인 TVT.media는 기자들이 이번 박람회에 대해 보도할 수 있도록 광범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기자들은 IFA Global Broadcast Centre를 통해 IFA의 영상을 사용할 수 있다. 

베를린, 2023년 9월 1일 /PRNewswire/ -- 지난해에 이어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인 IFA가 독일 배를린에서 9월 1일부터 5일까지 개최된다. 48개국에서 온 2천명 이상의 전시업체가 가전업계에 혁신을 가져올 획기적인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AP[https://apmultimedianewsroom.com/multimedia-newsroom/partners/news-aktuell ]에서 사용 가능하다.

올해 가장 중요한 유행어 중 하나는 지속가능성이다. 지금 우리는 모두 지구 위험 한계선(planetary boundaries)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제는 우리가 반응해야 할 때이다. 최신 가전제품은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에너지 절약 기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이며, 첨단 기술 제품은 순환 경제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생산된다. IFA는 이러한 주제를 위해 지속가능한 마을(sustainability village)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많은 제조업체들도 인공지능과 로봇 공학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번 전시장에서는 산업 관련 강연 및 행사 그리고 e스포츠 분야도 찾아볼 수 있다. 약 500여 개 스타트업 기업들이 참가함에 따라, 올해 Innovation Hub IFA NEXT는 사상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이와 함께, 사상 처음으로 #Berlintechweek이 열려 유럽 기술업계를 위한 만남의 장이 될 예정이다. 약 150개국에서 온 수 십만 명의 방문객들이 9월에 박람회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람회 주요 영상이나 전시업체 및 전문가 인터뷰를 포함한 더 많은 비디오 콘텐츠는 http://www.ifa-gbc.com에서 별도의 허락 없이 자유롭게 무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Contact:

ifa-gbc@tvtmedia.de
+49 173 251 59 00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SG와 환경] 호주 기후위험 평가, “다중 위협이 경제·사회에 파괴적 충격”… 한국에도 경고음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호주 정부가 최근 발간한 국가 기후 위험 평가 보고서에서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복합적 위협이 경제와 사회 전반에 심대한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번 평가 결과는 호주만의 문제가 아닌,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각국에 경고 신호를 던지고 있다. 보고서는 기후위기가 단일 사건이 아닌 “연쇄적(cascading)”이고 “중첩적(compounding)” 방식으로 전개된다고 진단했다. 폭염으로 인한 대규모 사망 증가, 산불과 가뭄이 불러오는 생태계 붕괴,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안 도시 침수 위험, 그리고 식량 공급망·사회 인프라 피해가 복합적으로 얽히며 피해 규모를 기하급수적으로 키운다는 것이다. 특히 호주는 최근 몇 년간 기록적인 폭염으로 보건 시스템이 압박을 받았고, 농업 생산성 감소와 수자원 불안정으로 장기적인 식량 위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경제적 비용과 사회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호주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호주 기후위협, 한국에 경고 메시지호주의 사례는 한국에도 직접적인 경고가 된다. 한국은 이미 폭염으로 인한 온열 질환 사망자 증가, 한강·낙동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