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7℃
  • 맑음강릉 9.8℃
  • 맑음서울 6.1℃
  • 맑음인천 7.1℃
  • 맑음수원 4.1℃
  • 박무청주 6.6℃
  • 박무대전 5.0℃
  • 박무대구 5.9℃
  • 맑음전주 6.5℃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8.3℃
  • 구름많음부산 12.4℃
  • 구름많음여수 12.9℃
  • 구름조금제주 15.2℃
  • 맑음천안 2.6℃
  • 맑음경주시 4.2℃
  • 구름조금거제 10.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혁신의 삼성과 아날로그의 LG


[데일리연합 남성현 기자]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들의 신제품 출시가 잇따르면서 본격적인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경쟁의 선두에는 국내 업체인 삼성전자의 '갤럭시S6'와 LG전자의 'G4'가 서 있다. 양사는 각기 다른 경쟁포인트로 내세우며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나섰다. 삼성은 '혁신', LG는 '아날로그 감성'을 강조한 가운데 소비자들의 선택은 어느 쪽으로 더 기울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달 10일 출시한 '갤럭시S6'와 '갤럭시S6엣지'의 판매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스마트폰 최초로 양면 엣지를 채택한 갤럭시S6엣지는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품절 사태까지 빚고 있다. 올해 삼성은 전작의 흥행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혁신을 키워드로 한 갤럭시S6를 야심차게 공개하고 나섰다. 이제 스마트폰에는 더 이상의 혁신은 없을 것이란 업계의 예상을 뒤집고 디자인과 성능 모두에 기존 스마트폰과 다른 혁신을 들고나온 것이다.

우선 삼성전자는 디자인부터 혁신을 도입했다. 처음으로 메탈과 글래스라는 소재를 도입해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그립감을 확보했다. 또한 나노 크기의 코팅을 수차례 입히는 가공 기법을 통해 보는 각도와 빛에 따라 달라지는 신비한 색상도 구현했다. 디자인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의 삼성 스마트폰 기술력을 적용해 성능도 극대화했다.

카메라는 후면 1600만, 전면 500만 화소의 고성능 이미지센서에 F1.9의 밝은 렌즈를 탑재하고 실시간 HDR(High Dynamic Range) 기능을 전.후면 카메라에 모두 적용해 어두운 곳이나 역광처럼 명암차가 큰 환경에서도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사진을 찍을 수 있다. HDR은 카메라로 밝기가 다른 사진을 연속 촬영 후, 밝고 어두운 부분이 모두 잘 나온 한 장의 사진으로 합성시켜 주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갤럭시S6와 갤럭시S6 엣지는 두가지 무선충전 표준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와 PMA(Power Matters Alliance) 인증을 스마트폰 최초로 모두 획득해 별도의 커버를 구입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무선충전이 가능하다.

삼성의 갤럭시S6의 출시에 이어 LG전자 역시 이달 말 전략 스마트폰인 G4를 출시한다. 반면 삼성전자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혁신을 강조했다면 LG는 상반된 콘셉트로 아날로그를 강조하고 나섰다. 첨단과 아날로그적 감성을 결합하는 역발상을 강조하면서 '따뜻한 기술'로 접근하는 방식을 선택한 것이다.

LG전자는 G4 곳곳에는 감성을 자극하는 포인트를 대거 탑재했다. 우선 가장 독보인는 것은 천연 소가죽을 입힌 소재다. 스마트폰 케이스로 천연가죽을 사용하기는 LG전자가 처음이다. 천연 소가죽의 부드러운 질감, 세월이 흐를수록 변해가는 색감으로 아날로그 감성을 자극하며 차별화 전략을 시도했다.

G4의 경쟁력 중 하나로 꼽히는 카메라 역시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한다. 어둠에 강한 F1.8 조리개를 탑재한 G4는 실제 DSLR 카메라 렌즈에서 쓰이는 조리개 값과 동급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완벽한 수동모드 구현이 가능해 수동카메라의 느낌을 살릴 수 있다는 것이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전문사진가 콜비 브라운은 직접 G4 카메라로 촬영한 후 셔터스피드, ISO, 화이트밸런스를 수동으로 조절해 빛과 색을 마음대로 조절해 촬영하는 모습을 소개하며 "자신만의 창의적인 작품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한계에 이른 상황에서 두 회사가 내놓은 신제품이 얼어붙은 수요를 얼마나 자극할 수 있을 지가 관건"이라면서 "어느 제품이 성공하는 지에 따라 향후 프리미엄 시장의 이정표를 보여주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고 전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