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이재용의 입을 통해 미래를 보다


[데일리연합 박혁진 기자]지난 일년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발이 그룹에 산적한 문제를 털어내고 새로운 시작의 기틀을 닦는 데 무게를 두고 움직였다면, 그의 입은 늘 미래를 향해 있었다. 부드럽지만 단호한 그의 말은 구성원들에게 명확한 목표를 제시한다.

B2B와 금융혁신, 스마트헬스케어 사업이 바로 그것이다. 우선 M&A를 통해 빠르게 확충되고 있는 삼성의 B2B 역량은 이건희 회장의 와병 전에도 이 부회장이 수차례 강조했던 사업 방향이다. 그는 지난해 초 열린 임원회의에서 “삼성을 IBM 같은 B2B 서비스 회사로 만들자”고 강조했었다. 삼성전자의 고도성장을 이끈 스마트폰 등 B2C 사업이 포화상태임을 인정하고, 플랫폼ㆍ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나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포부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IT산업의 B2B시장 규모는 1조6000억달러에 달하며, 이에 따라 애플 등 경쟁기업도 B2B 비중 높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금융혁신도 빠지지 않고 강조된다. 이 부회장은 지난해 5월 삼성생명 간부들과의 간담회에서 “삼성생명은 그룹의 핵심 역할을 하는 회사”라고 강조하고 금융사업 재편에 나섰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사 격인 삼성생명이 삼성자산운용 지분을 100% 확보했고, 지난 3월에는 중국 시틱(CITIC)그룹 창전밍 대표를 만나 금융사업 협력 확대를 약속했다.

세계시장에 특화된 삼성전자의 DNA를 금융 계열사에도 이식, 증권ㆍ펀드ㆍ보험 등 전통 금융서비스에서부터 차세대 핀테크 시장까지 섭렵하기 위해서다. 마지막으로 ITㆍ바이오 융합을 통한 스마트헬스케어 사업으로는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사물인터넷(IoT)과 실버ㆍ의료산업 개척에 나선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제품개발ㆍ생산능력을 키워 세계 의약품 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압도적인 IT 기술력으로 스마트 건강진단 및 관리체계까지 원스톱으로 장악한다면 ‘제2의 D램 신화’가 탄생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와 그로 인한 의료비 부담 속에서 스마트헬스케어 사업은 삼성의 미래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지난 3월 중국 보아오포럼에서 다시 한번 번득인 이 부회장의 새로운 비전을 밝혔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개선 촉구 목소리 높아져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건설 현장,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장에서의 열사병 발생 위험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 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와 관련 기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주 서울 지역의 낮 최고 기온은 37도를 넘어섰고, 습도까지 높아 체감 온도는 40도에 육박했다. 이러한 극심한 폭염 속에서 야외 작업자들은 열사병, 탈수 등 건강상의 위험에 직면하고 있으며, 일부 사망 사고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계는 정부와 기업에 작업 환경 개선을 촉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충분한 휴식 시간 보장, 냉방 시설 설치, 개인 보호 장비 제공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 특별 휴가제도 도입과 같은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며, 단순한 대책이 아닌 근본적인 노동 환경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주의보 발령 시 작업 중지를 권고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많은 야외 작업자들이 생계 때문에 작업 중지를 선택하기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