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지난해 자동차 리콜 87만대 5년만에 5.5배↑..현대차 가장 많아


[데일리연합 박혁진기자] 지난해 국내 자동차 리콜 차량이 87만대에 이른 것으로 집계됐다. 5년만에 5.5배에 가깝게 늘어난 수치다.

소비자들의 제작결함 신고 건수가 매년 늘고 있고, 정부가 결함 조사에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1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4년 국내에서 리콜된 차량은 432종, 87만대에 달했으며, 국산차가 35개 차종, 73만4천대, 수입차는 397종 13만6천대로 기록됐다.

리콜 건수와 대수 모두 예년보다 대폭 늘었다. 리콜 대수는 2009년만 해도 15만9천대(74종)에 그쳤다. 하지만 2010년 27만1천대(137종)로 증가했으며 2011년과 2012년에는 각각 26만9천대(196종)와 20만6천대(188종)를 나타냈다. 이하게 2013년에는 103만7천대(195종)로 전년대비 5배 넘게 폭증했다. 현대·기아차의 쏘나타 등 15개 차종 66만3천대가 브레이크 스위치 접촉 불량으로 리콜된 탓이라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대량 리콜이 없었던 작년에는 전년보다 리콜 차량 대수는 다소 감소했으나 차종 수는 122% 증가했다. 2009년과 비교하면 차종 수 484%, 대수 447%이나 늘어난 수치다. 난해 리콜 현황을 제작사별로 보면 현대차가 26만5천대로 대수가 가장 많았다. 현대차는 지난 5월 투싼의 에어백 결함으로 12만3천대를 리콜했다.

SM5의 시동꺼짐 현상으로 16만2천대를 리콜한 르노삼성은 총 리콜 대수가 18만6천대로 2위였다.이어 한국GM과 쌍용차가 각각 13만4천대와 13만2천대로 뒤를 쫓았다. 기아차는 리콜 대수가 5천대로 국내 완성차 5개 업체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수입차 업체로는 BMW가 2만9천대로 1위였으며 메르세데스벤츠 2만3천대, 도요타 2만대, 아우디폭스바겐 1만7천대, 포드 1만6천대 등의 순이었다.

수입차는 리콜 대수는 2013년까지 5만대에 못미쳤으나 지난해 2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판매 대수가 급증했으며, 해외리콜 보고 의무화 제도가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운영과장은 "국내의 자동차 리콜은 90% 정도가 정부의 권고로 이뤄지고 순수한 자발적 리콜은 10% 정도밖에 안 된다"면서 "지난해 리콜 건수가 많았는데 전보다 결함 신고도 많이 들어오고 있는데다 안전과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결함조사를 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리콜을 적시에 이뤄지게 만들기 위해 자동차 제작사가 제작결함을 확인하고도 리콜을 미루면 벌금을 물리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안전기준 위반 과징금 한도를 현재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올리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2025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 시상식, 22일 서울서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2025 제8회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 시상식이 오는 10월 22일 오후 2시, 서울 마포 가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 조직위원회가 주관하고 SCF CHANNEL KOREA와 장애인문화신문이 공동 주최하며, 아리랑글로벌경제문화재단, 중국동포연합중앙회, 성공리 마을 등이 후원하고 JBANK, SKX허황후가 협찬사로 참여한다. ‘대한민국을 빛낸 13인 대상’은 정치·경제·자치행정·문화예술·체육 등 각 분야에서 국가 발전과 사회 통합에 기여한 인물의 공적을 기리는 상으로, 올해로 8회를 맞이했다. 조직위원회는 매년 공정성과 전문성에 기반한 심사를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인물을 선정해 왔다. 올해 본상 부문은 ▲국가발전공헌대상 ▲의정발전공헌대상 ▲의료발전공헌대상 ▲세계평화봉사공헌대상 ▲범죄예방공헌대상 ▲교육발전공헌대상 ▲금융플랫폼발전공헌대상 ▲문화발전공헌대상 ▲사회발전공헌대상 ▲한류문화발전공헌대상 ▲문화예술발전공헌대상 ▲한국음식문화발전공헌대상 ▲AI블록체인공헌대상 등 총 13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특별상으로는 ▲한국문화발전부문 ▲한국사회복지발전부문 ▲한국경제발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