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저출산, 임시방편이 아닌 사회 구조적 해결 요구돼


[데일리연합 이소현 기자]지난 1987년 입주한 인천의 한 아파트. 1500가구 규모로 단지가 커 단지 안에 초등학교까지 갖출만큼 어린이가 많았던 곳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단지 내 초등학교는 오전ㆍ오후로 13개 반을 운영할 정도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주말 낮 시간대 놀이터에서도 아이들 웃음소리를 듣기 어려울 정도로 적막하다. 초등학교는 지난해 고작 6개 반을 유지하는데 그쳤다고 전했다.

아파트단지라면 의무적으로 갖춰야 하는 어린이놀이터가 한가해지고 있다. 대신 아파트 노인정에서는 60대는 젊은 층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눈에 띄게 늘었다. 저출산ㆍ고령화 문제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1989년 입주 후 26년째 이 단지에 살고 있는 김상희(53ㆍ여)씨는 "이 동네는 20년 전에는 아이들이 워낙 많다보니 고작 300m도 안 되는 단지 내 도로에 과속방지턱만 5개를 설치할 정도로 '치맛바람'이 셌다"며 "하지만 요새는 아이들이 드물어 초등학교도 조용하다"고 전했다.

어린이날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문화ㆍ체험행사가 열리는 등 축제분위기가 무르익고 있으나 저출산ㆍ고령화를 개선할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사회의 미래 성장동력인 어린이 인구(0~14세)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난 1990년 1113만4215명에 달했던 전국의 어린이 인구는 2010년 기준 778만6973명으로 300만명 이상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같은기간 216만2239명에서 542만4667명으로 300만명 가량 늘었다.

이로 인해 전국 곳곳에서는 신입생을 확보하지 못해 폐교 위기에 내몰리는 학교가 속출하고 있다. 교육당국에 따르면 올해 신입생이 없어 입학식조차 열지 못한 학교는 전국 120곳에 달했다. 그나마 신입생 1명으로 간신히 체면치레를 한 학교도 130곳에 이른다.

이같은 어린이 감소는 급격한 출산율 저하 때문이다. 한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숫자의 평균을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1990년 1.57명에서 지난해 1.21명까지 수직 하락했다. 2005년에는 일시적으로 1.05명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인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출산율이 2.1명임을 감안하면, 현재의 출산율은 사회를 유지할 기본적 인구조차 보장해주지 못하고 있는 경우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이같은 저출산기조는 해결 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20~30대 청년 사이에서 '7포(연애ㆍ결혼ㆍ출산ㆍ인간관계ㆍ내집마련ㆍ희망ㆍ꿈을 포기한 세대)' 담론이 확산되며 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많다. 취업포털 잡코리아(http://www.jobkorea.co.kr)가 20~30대 청년 4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포기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결혼(38.6%)과 출산(33.2%)을 꼽았다. 7포세대가 등장하게 된 원인으로는 47%가 '사회구조'라고 답했고, 24.3%는 '청년층을 배려하지 않는 정책'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단기적 처방 대신 구조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오건호 내가만드는복지국가 공동운영위원장은 "저출산의 가장 큰 원인은 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불안정과 이에따른 만혼"이라며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저출산 문제를 풀어가는 첫 실마리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청년세대가 취업난으로 인해 만혼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보육 등에 대한 사회적 차원의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보니 쉽게 출산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다"고 평가했다. 신 교수는 이어 "정부 부처 한 곳만의 노력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것인 만큼 정권 차원의 장기적 전략
을 마련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