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3.5℃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7.5℃
  • 맑음인천 8.3℃
  • 맑음수원 4.9℃
  • 맑음청주 7.9℃
  • 맑음대전 6.4℃
  • 맑음대구 7.3℃
  • 맑음전주 7.4℃
  • 구름많음울산 9.6℃
  • 구름조금광주 9.6℃
  • 구름많음부산 12.9℃
  • 구름많음여수 13.4℃
  • 구름많음제주 15.7℃
  • 맑음천안 4.3℃
  • 맑음경주시 5.7℃
  • 구름많음거제 10.3℃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환경부, 폐가전제품 5개 이상이면 방문 수거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 대상 품목이 기존 4종에서 15종으로 확대되면서 수거량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 3월 폐가전제품 ‘무상방문수거 서비스’ 대상 품목을 기존 냉장고, 에어컨, TV, 세탁기 등 4종에서 15종으로 확대하면서 폐가전제품 수거량이 2월 4만 2000대에서 3월 5만 9000대로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수거는 사용하지 않는 폐가전제품이 있을 경우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예약하면 수거전담반이 직접 방문해 무료로 수거해가는 서비스다. 폐가전제품이 5개 이상이면 품목과 관계없이 해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새로 확대된 품목은 전기오븐렌지, 공기청정기, 식기세척기, 식시 건조기, 복사기, 자동판매기, 런닝머신, 냉온정수기, 전자레인지, 전축(구형 오디오 세트), 본체와 모니터 세트 등 11개다. 올해 폐가전제품 수거량은 50만대(2만 3000톤), 경제적 편익은 8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해 수거된 폐가전제품은 35만 172대(1만 5942톤)이며 경제적 편익은 530억에 달한 것으로 환경부는 밝혔다. 또 환경부는 수거한 폐전자제품을 재활용센터 등에 넘겨 수리해 재사용하는 시범사업을 다음달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섬 지역의 경우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 관련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 폐가전제품을 한 곳에 모아두는 것으로 대신했는데, 점진적으로 무상 방문수거 서비스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