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한국 땅 넓이 1년간 여의도 6배만큼 확장


[데일리연합 윤준식 기자]한국 땅 넓이가 여의도 섬 6개가 생긴만큼 넓어졌다. 충남 당진, 전남 여수 등에서 시행한 매립사업 때문이다.

국토교통부는 국토정책 수립과 행정업무 활용에 기초가 되는 2015년 지적통계연보를 발간한다고 8일 발표했다.이 연보에 따르면 한국 국토 지적공부 등록면적은 1년 새 여의도면적의 6배인 18㎢ 증가한 10만284㎢로 나타났다.

주요 증가사유는 충남 당진시 석문국가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해안 매립준공에 따라 8.8㎢, 여수 국가산업단지 부지조성을 위한 해안 매립준공 등으로 4.5㎢, 기타 인천 경제자유구역의 매립준공, 준설토지매립, 경인아라뱃길 물류단지 준공 등이다.

행정구역별 토지면적을 살펴보면 광역자치단체는 경북 1만9029㎢, 강원 1만6826㎢, 전남 1만2309㎢ 순으로 면적이 가장 면적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면적이 가장 작은 행정구역은 세종 465㎢, 광주 501㎢, 대전 539㎢ 순이었다.

기초자치단체는 강원 홍천군 1820㎢, 강원 인제군 1645㎢, 경북 안동시 1522㎢ 순으로 면적이 컸다. 부산 중구 2.8㎢, 대구 중구 7.1㎢, 인천 동구 7.2㎢ 순으로 면적이 작다.지목별 토지면적은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58조에 따른 28개 지목에 따라 구분하여 작성됐다.

농경지(전·답·과수원·목장용지)와 임야는 247㎢ 감소하고, 대(垈·집터)와 공장용지는 106㎢ 늘었다. 기반시설(도로·철도용지·하천·제방)은 75㎢ 넓어졌다. 면적이 가장 큰 지목은 임야로 6만4081㎢(63.9%)이며, 농경지는 2만402㎢(20.34%)이며, 대(垈)와 공장용지는 3,826㎢(3.82%)이다.

소유구분별 토지면적은 개인, 국·공유지, 법인 및 비법인, 외국인 등 10종으로 소유형태를 구분해 작성했다. 개인소유토지 5만2186㎢(52%), 국·공유지 3만2661㎢(33%), 법인과 비법인 1만5105㎢(15%)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토지는 124㎢(0.12%)이다.

한편 지역별로 보면 개인토지는 경북이 1만508㎢(20.1%)로 가장 많고, 국·공유지는 강원도가 1만110㎢(31.0%)로 가장 많았다. 법인과 비법인은 경북이 2904㎢(19.2%)로 가장 넓게 나타났다. 외국인토지는 경기가 30㎢(24.2%)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제주, 중국 칭다오와 해양물류 협력 본격화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대한민국 제주와 중국 칭다오를 잇는 신규 해상항로가 제주경제의 새로운 물류 통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제주도 방문단이 칭다오 현지 물류현장을 직접 살피고 협력 기반 구축에 나섰다. 제주도는 15일 중국 칭다오시 방문 첫 일정으로 현지 수출기업 간담회와 aT물류유한공사 시찰을 통해 제주-칭다오 정기항로의 실질적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 16일 제주–칭다오 정기항로 취항식을 앞두고 진행된 이번 방문에는 제주도와 경제계, 공공기관 등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양 지역 간 물류·항만·통상 현장을 살피고 지속가능한 교류 기반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오영훈 지사 주재로 열린 수출입 관계자 간담회에서는 제주-칭다오 신규항로 개설 배경을 설명하고 직항로 이용과 물동량 확대를 위한 협력을 요청했다. 이 자리에는 제주도 관계자와 제주상공회의소, 대한건설협회 제주도회, 바이오기업협회, 어류양식수협, 양돈농협 등 주요 경제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중국측에서는 김윤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칭다오무역관장, 한승희 칭다오 aT물류유한공사 법인장, 이대우 주칭다오한국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