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한국 절반 크기 남극 '라르센C' 빙붕 붕괴


[데일리연합 윤병주 기자]세계에서 네번째로 큰 남극의 라르센 빙붕이 붕괴할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AFP 통신은 폴 홀랜드 영국 남극연구소(BAS) 연구팀은 빙하학술저널 '빙권(The Cryosphere)'지에 게재한 논문에서 "세계에서 4번째로 큰 라르센 C 빙붕의 붕괴가 2014년 들어 급속도로 빨라지고 있어 붕괴를 막을 방법이 없다"고 보도했다.

홀랜드는 "만약 라르센 C같은 거대 빙붕이 붕괴할 경우 주변 빙하 역시 잇달아 유출되고 해수면 상승 역시 더 빨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빙붕은 남극 대륙을 뒤덮은 얼음이 빙하를 타고 흘러 내려와 바다 위로 퍼져 평평하게 얼어붙은 것을 의미한다. 빙붕은 남극 대륙의 빙하가 녹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두께는 수백미터에 달한다.

라르센 빙붕은 구역에 따라 A, B, C로 나뉘며 그 중 라르센 C 빙붕은 5만5000㎢로 그 크기가 한국 면적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크다. 하지만 이미 라르센 A와 라르센 B 빙붕은 지난 20년 사이 사라졌다.

1995년 1월 라르센 A 빙붕가 붕괴한 데 이어 라르센 B 빙붕 역시 2002년 2월 완전히 소멸했다. 특히 미국 로드아일랜드 크기에 달하는 라르센 B 빙붕의 소멸은 1만2000년 전 마지막 빙하시대가 끝난 이후 전례가 없을 정도로 큰 규모였다.

남극반도는 지구에서 지구온난화가 가장 빠르게 일어나는 지역 중 하나이며 지난 50년간 섭씨 2.5도가 상승해 그 속도가 지구 평균 기온상승속도의 몇 배에 이른다. 전문가에 따르면 라르센 C 빙붕의 소멸 자체는 해수면을 상승시키지 않는다. 문제는 라르센 C 빙붕의 소멸로 해수면에 접촉하는 빙하가 더 늘어나게 된다는 점에 있다.

데이비드 본 BAS 과학자는 "라르센 A와 B 빙붕이 사라졌을 때도 빙하가 녹는 속도가 더 빨라져 남극대륙 전체의 해수면 상승을 불러일으켰다"고 설명했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013년 보고서에서 남극 빙하손실이 2001년 연당 300억톤에서 10년 사이 연당 1470억톤으로 증가했다고 경고했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우 피해 복구 지원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전국을 강타한 폭우로 인한 피해가 심각하다. 정부는 피해 복구와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현재까지 집계된 피해 규모는 상당하며, 특히 주택 침수와 도로 유실 등의 피해가 컸다. 정부는 재난지원금 지급, 임시거주시설 제공 등의 긴급 지원책을 마련하고 피해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지원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 규모가 예상보다 커짐에 따라, 지원의 손길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곳도 존재한다. 특히, 사회적 취약 계층의 피해는 더욱 심각하며, 이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향후 피해 복구를 위해서는 단순한 물리적 복구뿐 아니라, 예방 시스템 구축에도 힘써야 한다. 지속가능한 재해 예방 시스템을 마련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민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이번 폭우 피해를 계기로 재난 대응 시스템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재난 예보의 정확성 향상과 신속한 대피 체계 구축, 그리고 피해 지원 절차 간소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