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이원욱 의원, '나노기반 차세대 태양전지 국내외 현황 및 전망 포럼'개최

데일리연합 윤준식 기자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이원욱(화성을) 의원은 21일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국회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포럼, 한국유기태양전지학회(회장 김환규)와 함께「나노기반 차세대 태양전지 국내외 현황 및 전망 포럼」을 개최한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이 훨씬 낮은 우리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특히 그 중 가장 접근이 쉬운 태양광산업에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 양산이 필요하다.

이원욱 의원은 “이번 포럼은 이와 같은 추세를 반영, 나노기반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의 국내외 현황을 알아보고, 구체적 전망을 논의해보는 자리로, 국내 학계, 산업계, 정부 측과 국회가 함께 대안 마련에 힘을 모으는 계기로 삼고자 마련되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정답은 신재생에너지원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 정책을 확대하지 못한 상태에서, 시장에 내맡기는 것“을 비판했다. 이어 태양광산업은 ”태양전지가 심장과 같다며, 건강한 심장의 기능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지 정부가 먼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고효율 저비용의 태양전지 개발을 위한 정책방향에 관심을 가질 것을 약속하며, 이 외에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을 지속적으로 고민, 정책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포럼은 두 개의 세션으로 이루어지며, 세션1에서는 동진세미켐의 신규순 소장이 ‘연료감응태양전지 연구동향’이라는 주제로, 코오롱의 한정석 부장이 ‘유기태양전지 개발현황 및 시장동향’을, 성균관대 박남규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의 석상일 박사가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동향’을 주제로 발표를 할 예정이다. 

제2세션에서는 경희대 임상혁교수가 ‘양자점 및 나노기반 차세대 박막 태양전지의 잠재성’이라는 주제로 발표하고, 현대자동차 김상학박사가 ‘ 차세대 태양전지 사업의 신시장 창출전략 및 사례’를, 산업부 노건기 과장이 ‘태양광 관련 R&D 동향’을, 미래부 백일섭 과장이 ‘태양전지 R&D 및 정책방향’을 주제로 발표한다. 한편 전체 포럼 사회는 건국대 이재준 교수가 맡아 진행하게 된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업의 탄소중립 노력 가속화: 녹색금융 확대와 정부 정책의 영향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글로벌 탄소 감축 목표와 더불어 녹색금융의 확대, 그리고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맞물린 결과이다.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탄소 배출 감축에 대한 압력이 커짐에 따라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투자, 친환경 기술 도입,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프로세스 개선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특히 녹색금융의 확대는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녹색채권, 지속가능연계대출(SLL) 등 녹색금융 상품을 통해 기업들은 저렴한 자금을 조달하여 친환경 사업에 투자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지원은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 속도를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 또한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탄소세 도입, 탄소배출권 거래제 강화,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등 다양한 정책들이 기업들의 탄소 감축을 유도한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는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수립과 이행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