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3.5℃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7.5℃
  • 맑음인천 8.3℃
  • 맑음수원 4.9℃
  • 맑음청주 7.9℃
  • 맑음대전 6.4℃
  • 맑음대구 7.3℃
  • 맑음전주 7.4℃
  • 구름많음울산 9.6℃
  • 구름조금광주 9.6℃
  • 구름많음부산 12.9℃
  • 구름많음여수 13.4℃
  • 구름많음제주 15.7℃
  • 맑음천안 4.3℃
  • 맑음경주시 5.7℃
  • 구름많음거제 10.3℃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소비자심리지수 2년반만에 최저…메르스 여파


[데일리연합 윤병주기자] 메르스 사태 영향으로 소비자심리지수가 2년 반 만에 최저치로 추락했다.

한국은행의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 CCSI는 전월대비 6포인트나 급락한 99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2년 12월(98)이래 2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CCSI는 2003∼2013년 장기 평균치를 기준(100)으로 삼아 이보다 수치가 높으면 소비자 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낙관적임을, 이보다 낮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CCSI는 기준금리 인하와 경제 활성화 정책에 주택·주식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자 4월과 5월에 연속 올랐다.

하지만 메르스가 6월 들어 확산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급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CCSI 내림폭은 지난해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4포인트 하락(4월 108→5월 104)했던 것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르스가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데다 2차·3차 감염 확산으로 공공장소를 피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소비가 급속도로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최근 가뭄으로 농산품 가격이 급등하고, 공공 요금도 인상되면서 소비자들의 물가수준전망 CSI는 전월대비 2포인트 올랐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