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박창진 사무장 ‘땅콩 회항’ 미국서 조현아 상대로 소송


[데일리연합 남성현기자] 이른바 ‘땅콩회항’ 사건의 피해 당사자인 박창진 대한항공 사무장이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을 상대로 미국 법원에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징벌적 손해배상’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땅콩회항 사건 당시, 대한항공 조현아 전 부사장의 지시로 여객기에서 내려야 했던 박창진 사무장이 미국 뉴욕주 퀸스카운티 법원에 조 전 부사장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냈다.

박사무장은 조 전 부사장이 기내에서 반복적으로 욕설과 폭행을 해 공황장애 등 극심한 육체적,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에는 없는 제도인 ‘징벌적 손해배상’도 요구했지만 배상금액은 명시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조 전 부사장에게 마카다미아를 서비스했던 승무원 김도희 씨도, 지난 3월 같은 법원에 소송을 낸 바 있다.

그러나 조 전 부사장 측은 사건 당사자와 증인의 주소가 한국이고 고용계약서상 소송관할이 한국이라는 이유로 한국에서 소송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 사무장은 이번 소송을 내면서 이번 사건으로 승객은 물론 관제탑과 활주로 종사자 등 공항 측도 피해를 봤기 때문에 뉴욕에서 재판이 진행돼야 한다고 반박했다.

박 사무장은 근로복지공단에서 산업재해를 인정받아 현재 대한항공에 출근을 하지 않고 있으며, 내년 1월 중순까지 요양기간을 연장한 상태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기반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및 대응 전략 강화 필요성 부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새로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AI 기반의 지능형 지속 위협(APT) 공격은 그 정교함과 은밀성으로 기존의 보안 시스템을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AI는 악성코드 생성, 피싱 공격 자동화, 취약점 탐색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의 발전은 악성코드의 변종을 빠르게 생성하고,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피싱 메일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고도화된 공격은 기존의 규칙 기반 보안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렵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기반의 지능형 보안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교육을 통한 인적 요소 강화도 중요한 부분이다. 피싱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