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5.1℃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8.7℃
  • 맑음인천 8.6℃
  • 맑음수원 6.4℃
  • 맑음청주 10.1℃
  • 맑음대전 8.5℃
  • 구름조금대구 8.9℃
  • 맑음전주 9.2℃
  • 구름조금울산 10.1℃
  • 맑음광주 11.2℃
  • 구름많음부산 13.6℃
  • 구름많음여수 14.2℃
  • 구름많음제주 16.3℃
  • 맑음천안 5.3℃
  • 구름조금경주시 7.4℃
  • 구름많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국제

젭 부시 “아시아인 원정출산” 발언에 비판 쏟아져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아시아인들의 미국 원정출산을 비판한 미 공화당 대선 경선후보 젭 부시의 발언이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

아시아계 유권자는 물론 아시아계 정치인까지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국 공화당 대선 경선후보로 나선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

최근 유세장에서 미국에서 태어나는 아기에게 자동적으로 미국 국적을 주는 제도를 아시아인들이 악용한다며 비판했다.

미국에서 출생해 시민권을 얻은 아기를 ‘앵커 베이비’라고 지칭했는데, 부모가 바다에 앵커 즉 닻을 내리듯 아이를 미국인으로 만들어 자신들의 정착을 돕게 한다는 의미다.

실제로 중국인 원정출산만으로 지난해 약 6만 명의 신생아가 미국에서 태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발언 직후 선거판에서 미미한 아시아계를 희생양으로 삼아, 중남미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려 한다는 비판이 쏟아져 나왔다.

멕시코 태생 아내를 둔 부시 전 주지사가 멕시코인 비하 발언으로 히스패닉과 대립각을 세운 경선 라이벌 도널드 트럼프를 의식해 무리수를 뒀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논란이 확산되자 부시 전 주지사는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아시안계 미국인들이 밀집한 캘리포니주의 마이크 혼다 연방 하원의원이 모든 이민자들에 대한 모욕이라며 직격탄을 날리는 등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