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5.1℃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8.7℃
  • 맑음인천 8.6℃
  • 맑음수원 6.4℃
  • 맑음청주 10.1℃
  • 맑음대전 8.5℃
  • 구름조금대구 8.9℃
  • 맑음전주 9.2℃
  • 구름조금울산 10.1℃
  • 맑음광주 11.2℃
  • 구름많음부산 13.6℃
  • 구름많음여수 14.2℃
  • 구름많음제주 16.3℃
  • 맑음천안 5.3℃
  • 구름조금경주시 7.4℃
  • 구름많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국제

새로운 고대 인류 화석 발견 ‘진화 새역사’ 계기될까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남아프리카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고대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

진화의 역사를 새로 쓰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남아프리카 ‘인류 화석지구’ 인근의 동굴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고대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

사람 속에 속하는 새로운 종으로 이 인류가 살았던 연대는 250만 년에서 3백만 년 전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루시’로 알려진 인류의 조상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가 살았던 시기와 비슷한 시기다.

새로 발견된 인류는 화석이 발견된 동굴의 이름을 따 호모 나레디로 명명됐다.

발굴팀은 호모 나레디가 원시의 직립 영장류와 인류 사이를 연결해 주는 ‘잃어버린 고리’를 찾을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자 키 150센티미터 정도인 나레디는 인간의 특징과 원시 영장류의 특징이 섞여 있으며 이런 조합은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조합이라고 발굴팀은 설명했다.

발굴팀은 그러나 나레디가 현대인류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나레디가 발견된 동굴에서는 지금까지 모두 천500조각의 화석이 발견됐고 어린 아이부터 노인까지 최소 15명의 화석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