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5.1℃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8.7℃
  • 맑음인천 8.6℃
  • 맑음수원 6.4℃
  • 맑음청주 10.1℃
  • 맑음대전 8.5℃
  • 구름조금대구 8.9℃
  • 맑음전주 9.2℃
  • 구름조금울산 10.1℃
  • 맑음광주 11.2℃
  • 구름많음부산 13.6℃
  • 구름많음여수 14.2℃
  • 구름많음제주 16.3℃
  • 맑음천안 5.3℃
  • 구름조금경주시 7.4℃
  • 구름많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잇츠게임 2015서 국산게임 1억 4천만 달러 수출상담 성과 거둬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지난달 말 개최된 국내 유일의 게임 산업 관련 B2B 행사 ‘잇츠게임(ITS GAME) 2015’에서 <출조낚시왕>, <Don’t stop> 등 국산게임이 수출계약을 체결한 것을 비롯해 총 1억 4,457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 주최로 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원장 송성각)이 지난 8월 20,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 잇츠게임에서 210개 국내 참가 기업들은 해외 14개국 104개 업체들과 1,975건 1억 4,457만 달러 규모의 수출상담을 벌였다.

이 가운데 마상소프트는 온라인 게임 <출조낚시왕>을 유럽 시장에 출시하기로 독일 게임 퍼블리싱 겸 컨설팅 기업 IME와 장기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출조낚시왕>은 전 세계의 광활한 바다에서 낚시를 하는 게임으로 물고기의 유영 형태와 파이팅(힘겨루기) 형태를 실제 낚시와 유사하게 구현해 짜릿한 손맛을 느낄 수 있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IME 관계자는 “유럽에는 낚시 마니아층이 두터워 수준 높은 낚시 게임에 대한 수요가 크다”며 “이번 유럽 시장 독점 서비스 계약으로 좋은 성과를 기대하게 됐다”고 말했다.

매콤게임즈도 모바일 게임 <Don’t Stop>을 중남미 지역 20개국에 서비스하는 내용의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매콤게임즈는 상담회 현장에서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운영한 ‘찾아가는 수출상담’ 코너의 계약서 법률 검토 서비스를 이용해 계약을 진행했다. 매콤게임즈는 현지화 작업을 거쳐 올해 안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어뮤징웨어가 모바일 전략 RPG <미스틱 히어로즈(가제)>의 일본 진출과 관련한 협의를 하는 등 행사에 참가한 나머지 200여 국내 게임사들도 해외 104개 퍼블리셔 및 바이어들과 총 1,975건의 상담을 벌였고 1억 4,457만 달러에 달하는 수출상담 성과를 달성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김상현 방송·게임산업실장은 “올해 잇츠게임은 역대 최대 규모로 열려 기대 이상의 상담실적이 이뤄졌다“면서 ”향후 실질적 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