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5.1℃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8.7℃
  • 맑음인천 8.6℃
  • 맑음수원 6.4℃
  • 맑음청주 10.1℃
  • 맑음대전 8.5℃
  • 구름조금대구 8.9℃
  • 맑음전주 9.2℃
  • 구름조금울산 10.1℃
  • 맑음광주 11.2℃
  • 구름많음부산 13.6℃
  • 구름많음여수 14.2℃
  • 구름많음제주 16.3℃
  • 맑음천안 5.3℃
  • 구름조금경주시 7.4℃
  • 구름많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국제

‘파문확산’ 폭스바겐 결국 CEO 사퇴, 신용등급 강등 위기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배출가스 조작 사건으로 총체적 난국에 빠진 폭스바겐의 최고경영자가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하지만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는 중단되고 조사대상 차종과 대상국가는 점점 늘고 있어 파문은 계속해서 확산되는 추세다.

폭스바겐의 최고경영자 마르틴 빈터코른이 이번 배출가스 조작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그러나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가 폭스바겐의 신용등급을 강등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폭스바겐을 ‘부정적 관찰’ 대상으로 분류했다.

피치는 폭스바겐이 미국에서 받을 벌금은 180억 달러 우리도 약 21조 원으로 예상했지만, 나빠진 회사 이미지가 회사 영업과 재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추정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해외 투자자자들의 투자 중단도 잇따라, 북유럽 최대 자산운용사인 스웨덴의 노디어 자산운용은 앞으로 6개월간 폭스바겐에 대한 투자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폭스바겐의 대주주인 도이치자산운용도 세계 자동차시장 둔화를 이유로 들긴 했지만, 폭스바겐에 대한 지분을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폭스바겐 디젤차에 대한 조사는 이탈리아 등 10여 개국으로 확산되고 있고, 미국은 폭스바겐 그룹 내 다른 디젤 차종도 배출가스 조작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나서 사태는 점점 확산되고 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