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0.6℃
  • 맑음강릉 16.5℃
  • 맑음서울 12.4℃
  • 맑음인천 11.4℃
  • 맑음수원 11.4℃
  • 맑음청주 14.6℃
  • 맑음대전 14.5℃
  • 구름조금대구 14.4℃
  • 맑음전주 14.1℃
  • 구름조금울산 13.5℃
  • 구름조금광주 15.6℃
  • 구름많음부산 15.9℃
  • 구름많음여수 16.5℃
  • 구름많음제주 17.5℃
  • 맑음천안 11.9℃
  • 구름조금경주시 11.9℃
  • 구름조금거제 13.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국산 애니 매력 탐구 공중파 프로그램 첫 탄생

 

[데일리연합 류아연기자] 국산 애니메이션과 웹툰의 글로벌 활약상에 대한 소개는 물론 원초적 재미와 매력을 흥미롭게 탐구해 정보와 재미를 한 번에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공중파에서 첫 선을 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은 국산 애니메이션과 웹툰을 홍보해 이용자층을 확대하기 위한 인포테인먼트 프로그램 <접속! 애니월드>를 30일 SBS를 통해 첫 방송했다.

<접속!애니월드>의 메인 MC는 웹툰 <찌질의 역사>의 작가로는 물론 셰프로도 활동하며 올 한해 예능계 최고 블루칩으로 불리는 김풍 씨가 맡았다.

플래시 애니메이션 작가 이자 애니메이션 마니아를 위한 헌정방송을 표방한 팟캐스트 <후라이>의 진행자 김창후 씨와 SBS 김선재 아나운서도 진행자로 내세워 전문성을 강화했다.

<접속!애니월드>는 △애니메이션 속에서 호기심과 궁금증을 유발하는 내용을 재미있는 실험을 통해 밝혀내는 ‘애니 탐구생활‘ △MC 김풍 씨와 초대 인기 웹툰 작가의 토크쇼 ‘풍문으로 들었소’ 등의 코너로 이뤄진다.

이밖에 △애니메이션 속의 캐릭터들을 독특한 시선으로 재해석하는 ’누구냐 넌‘ △테마를 정해 국내외 애니메이션들의 랭킹 순위를 소개하는 ‘못 말리는 애니 킹’ 등 개성 있고 재미있는 코너로 시청자들의 시선과 관심을 사로잡는다는 방침이다.

오는 30일 첫 방송에서는 세계 67개국에 방영되며 한국산 애니메이션의 성공신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라바> 속 방귀의 비밀을 밝혀보고, 한국인이 사랑하는 애니메이션 <아기공룡 둘리> 속 고길동 캐릭터를 새롭게 해석했다.

또 <신과 함께>, <무한동력> 등의 웹툰으로 최고 웹툰 작가로 자리잡은 주호민 작가가 ‘풍문으로 들었소’ 코너 첫 게스트로 출연해 웹툰 창작의 노하우와 숨겨진 뒷 이야기를 전해줬다.

<접속! 애니월드>는 매주 금요일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한 시간 동안 방송되고 매주 토요일 새벽 1시 25분에 재방송된다.

한국콘텐츠진흥원 대중문화산업실 홍정용 실장은 “애니메이션은 세계 시장규모 18조, 파생 캐릭터 산업이 160조 원에 이를 정도로 부가가치가 높다”며 “<접속! 애니월드>가 K-애니메이션이 한류의 주역이 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인공태양 연구시설 나주 유치’, 나주 시민이 나섰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무한 청정 핵융합에너지 연구시설의 나주 유치를 위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나주시민추진위원회’가 4일 본격 출범했다. 전라남도 나주시는 이날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나주시민추진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나주를 미래 청정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기 위한 범시민 유치 활동에 나섰다. 출범식은 민간 공동위원장 위촉장 수여, 인공태양 홍보영상 상영, 인공태양 연구시설 나주 유치 결의문 낭독과 유치 퍼포먼스 순으로 진행됐으며 지역 사회단체, 출향 향우와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유치 열기를 입증했다.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나주시민추진위원회’에는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이 명예 위원장으로 참여한다. 윤병태 나주시장과 이재남 나주시의장이 공동위원장을, 민간 공동위원장은 조환익 전 한국전력 사장과 김성의 재광나주향우회장이 맡았다. 또 언론, 시민사회단체 등 각계 인사 150여 명이 추진위원으로 동참했다. ‘궁극의 무한 청정에너지’로 평가받는 인공태양은 태양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모방해 인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