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3℃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4.0℃
  • 맑음인천 12.4℃
  • 맑음수원 13.8℃
  • 맑음청주 16.2℃
  • 맑음대전 15.7℃
  • 구름조금대구 17.2℃
  • 맑음전주 16.4℃
  • 구름많음울산 15.6℃
  • 구름조금광주 17.2℃
  • 구름많음부산 17.5℃
  • 구름많음여수 17.8℃
  • 흐림제주 18.1℃
  • 맑음천안 14.6℃
  • 구름조금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4.8℃
기상청 제공

국제

아이유 새 앨범 ‘제제’ 성적 해석 논란


[데일리연합 윤병주기자] 가수 아이유의 새 미니앨범 '챗셔'(CHAT-SHIRE) 수록곡인 '제제'(Zeze)가 소설 등장인물을 성적으로 해석했다는 비판에 휩싸인 가운데 아이유와 소속사 측이 아무런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아 궁금증을 키우고 있다.

특히 아이유 소속사 로엔트리는 챗셔 오프라인 앨범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된 'Twenty-Three’샘플링 무단 사용 의혹에 대해서는 지난 3일 아이유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번 제제 성적 해석 논란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지 않은채 다음달 20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팬미팅만을 홍보하고 있어 네티즌들의 공방이 더욱 가열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브라질 작가 J. M. 바스콘셀로스 명작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의 한국어판을 펴낸 출판사 동녘은 어제 오전 공식 페이스북에 '아이유님,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닙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제제는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주인공으로 동녘은 아이유가 한 인터뷰에서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선 잔인하다. 캐릭터만 봤을 때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 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한 것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제'는 아이유가 작사한 곡이다.

동녘은 "제제는 다섯 살짜리 아이로 가족에게서도 학대를 받고 상처로 가득한 아이"라며 "창작과 해석의 자유는 있지만 학대로 인한 아픔을 가진 다섯 살 제제를 성적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출판사는 이어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 잎사귀에 입을 맞춰",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 / 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 그 안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 / 알 길이 없어" 등 '제제'의 가사 표현을 "잘못된 해석"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앨범 표지 이미지에 들어간 제제의 그림과 관련해 "제제에다가 망사 스타킹을 신기고 핀업걸 자세를 하고 있다"며 "성적이고 상업적인 요소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아이유의 프로듀서로 오래 함께한 조영철은 이날 트위터에 "문화의 영역에서 해석과 상상력을 문제삼는 것은 좋아보이지 않는다"고 아이유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올리기도 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인공태양 연구시설 나주 유치’, 나주 시민이 나섰다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무한 청정 핵융합에너지 연구시설의 나주 유치를 위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나주시민추진위원회’가 4일 본격 출범했다. 전라남도 나주시는 이날 오후 2시 시청 대회의실에서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나주시민추진위원회’ 출범식을 갖고 나주를 미래 청정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기 위한 범시민 유치 활동에 나섰다. 출범식은 민간 공동위원장 위촉장 수여, 인공태양 홍보영상 상영, 인공태양 연구시설 나주 유치 결의문 낭독과 유치 퍼포먼스 순으로 진행됐으며 지역 사회단체, 출향 향우와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유치 열기를 입증했다. ‘인공태양 연구시설 유치 나주시민추진위원회’에는 신정훈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이 명예 위원장으로 참여한다. 윤병태 나주시장과 이재남 나주시의장이 공동위원장을, 민간 공동위원장은 조환익 전 한국전력 사장과 김성의 재광나주향우회장이 맡았다. 또 언론, 시민사회단체 등 각계 인사 150여 명이 추진위원으로 동참했다. ‘궁극의 무한 청정에너지’로 평가받는 인공태양은 태양의 에너지 생성 원리를 모방해 인공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