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아이유 새 앨범 ‘제제’ 성적 해석 논란


[데일리연합 윤병주기자] 가수 아이유의 새 미니앨범 '챗셔'(CHAT-SHIRE) 수록곡인 '제제'(Zeze)가 소설 등장인물을 성적으로 해석했다는 비판에 휩싸인 가운데 아이유와 소속사 측이 아무런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아 궁금증을 키우고 있다.

특히 아이유 소속사 로엔트리는 챗셔 오프라인 앨범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된 'Twenty-Three’샘플링 무단 사용 의혹에 대해서는 지난 3일 아이유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번 제제 성적 해석 논란에 대해서는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지 않은채 다음달 20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팬미팅만을 홍보하고 있어 네티즌들의 공방이 더욱 가열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브라질 작가 J. M. 바스콘셀로스 명작 '나의 라임오렌지나무'의 한국어판을 펴낸 출판사 동녘은 어제 오전 공식 페이스북에 '아이유님, 제제는 그런 아이가 아닙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제제는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주인공으로 동녘은 아이유가 한 인터뷰에서 "'제제'는 순수하면서 어떤 부분에선 잔인하다. 캐릭터만 봤을 때 모순점을 많이 가진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매력 있고 섹시하다고 느꼈다"고 말한 것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제'는 아이유가 작사한 곡이다.

동녘은 "제제는 다섯 살짜리 아이로 가족에게서도 학대를 받고 상처로 가득한 아이"라며 "창작과 해석의 자유는 있지만 학대로 인한 아픔을 가진 다섯 살 제제를 성적 대상으로 삼았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출판사는 이어 "제제, 어서 나무에 올라와 / 잎사귀에 입을 맞춰", "넌 아주 순진해 그러나 분명 교활하지 / 어린아이처럼 투명한 듯해도 어딘가는 더러워 / 그 안에 무엇이 살고 있는지 / 알 길이 없어" 등 '제제'의 가사 표현을 "잘못된 해석"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앨범 표지 이미지에 들어간 제제의 그림과 관련해 "제제에다가 망사 스타킹을 신기고 핀업걸 자세를 하고 있다"며 "성적이고 상업적인 요소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아이유의 프로듀서로 오래 함께한 조영철은 이날 트위터에 "문화의 영역에서 해석과 상상력을 문제삼는 것은 좋아보이지 않는다"고 아이유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올리기도 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성동구-성동50플러스센터, "커뮤니티와 함께 피어나는 노후준비 축제"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서울 성동구 성동50플러스센터는 지난 9월 2일 ’커뮤니티와 함께 피어나는 노후준비 축제 – 커!피!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성동50플러스센터는 2024년 9월 서울시 최초로 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로 지정된 이후,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노후진단, 상담,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주민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추진했으며 노후 준비에 대한 인식 제고와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목표로 주민들이 다양한 중장년 지원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전문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했다. 행사에는 커뮤니티와 연계된 다양한 부스, 축하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돼 참여자들에게 건강한 노후준비와 세대 간 활기찬 소통의 공간을 제공했다. 특히 광복 80주년을 맞이 무궁화 1,000주 나눔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역사적 의미와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을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한편 성동구는 중장년 세대의 체계적인 노후준비 지원을 위해 ‘성동지역노후준비협의체'를 새롭게 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