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전북

전주시, 전주 XR·메타버스 산업 얼라이언스 출범

- 시·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14일 전주 XR·메타버스 산업 얼라이언스 출범식 가져
- LX·전북은행 등 21곳, 디지털트윈 기반 고정밀 3D 객체 모델링 등 6개 프로젝트 수행
- 12월까지 프로젝트 진행한 뒤 최종 비즈니스 모델 도출, 향후 국가사업 발굴 등에 대응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권오연 기자 | 최근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포괄하는 가상융합기술(XR)이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전주시와 공공기관, 기업들이 XR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전주시와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영로)은 14일 전북VR·AR제작거점센터 3층에서 김승수 전주시장과 이영로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 20여 곳의 유관기관·기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전주 XR·메타버스 산업 얼라이언스(alliance)’ 출범식을 가졌다.

 

이날 출범한 ‘전주 XR·메타버스 산업 얼라이언스’는 정부의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에 발맞춰 지역산업·인프라와 연계한 XR·메타버스 산업 생태계를 확산시키기 위한 연합체다.

 

얼라이언스에는 LX 한국국토정보공사와 같은 지역 공공기관과 SK플래닛, 전북은행 등 민간기업 21곳이 참여해 6개 프로젝트를 수행하게 되며, 시는 사업계획 구체화부터 기술 개발, 사업화 등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6개 프로젝트는 △디지털트윈 기반 경제플랫폼(유통서비스 등) △교육형 메타버스 플랫폼(원격회의) △디지털트윈 기반 고정밀 3D 객체 모델링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게임 데이터 플랫폼 △첫마중길 XR융합 오프닝로드(실감형 콘텐츠 개발) △민팅서비스 기반 미디어 유통 서비스 등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디지털트윈 기반 고정밀 3D 객체 모델링 구현 프로젝트의 경우 케이스타일즈, 폴리곤디자인랩, 올포랜드, 모아지오 등의 기업이 참여해 하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구축한다.

 

참여 기업들은 오는 12월까지 각자의 프로젝트를 진행한 뒤 최종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와 공동으로 국가사업 발굴 등에 지속적으로 대응해 나가게 된다.

 

이에 앞서 시와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지난달 얼라이언스에 참여할 기업·기관을 모집해 △LX △SK플래닛 △전북은행 △올포랜드 △모아지오 △(주)텔로스 △(주)타바바 △(주)오스리움 △케이스타일즈 △폴리곤디자인랩 △올포랜드 △(주)MGX △디딤스토리 △(주)써티데이즈 △(주)라이브랩 △펀웨이브(주) △(주)월러스코 △(주)고백기술 △(주)SGO △전주MBC 등으로 프로젝트 그룹을 꾸렸다.

 

이와 관련 시와 진흥원은 지역 XR 산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전북VR·AR제작거점센터와 스마트미디어센터에서 연간 100여 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으며, 실감형 콘텐츠 제작 및 편집장비 등 이용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또 지난 7월부터 가상융합기술을 선도하는 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4차례에 걸쳐 ‘XR 온다(ONDA) 세미나’를 열고 XR 산업의 전망과 기술을 공유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변화의 속도에 올라탈 수 있어야 지역의 미래도 열어갈 수 있다”면서 “전주 XR·메타버스 산업 얼라이언스는 지역 내 XR 기업 육성을 통해 메타버스라는 신시장을 선점해 나갈 수 있는 전략적인 열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5월 이동통신사와 미디어 기업·기관이 참여하는 메타버스 얼라이언스를 출범했으며, 참여 기업들에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과 핵심기술 개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ESG 공시 의무 강화,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및 실사 의무가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국제적인 규제들이 고도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ESG 경영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CSDDD는 기업이 인권 및 환경 측면에서 자사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도록 의무화한다. 이는 유럽 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에 진출하거나 유럽 기업과 거래하는 비EU 기업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망 내의 중소기업까지 ESG 리스크 관리를 확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율적인 공시를 넘어, 이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강제적인 실사 의무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한국 기업들에게 이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먼저, 복잡하고 다양한 해외 규제에 대한 이해와 준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ESG 성과 관리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