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박병문 목사 '예언이 끝났을 때'라는 책은 레온 페스팅거가 지은 명작이다.

1954년 미국에서 시커스Seekers라는 종교집단이 종말을 예언하여 수많은 사람이 현혹했다.

                                            은평온누리교회 담임 박병문목사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이성용 기자 |페스팅거는 여기에 잠입해 이 사건을 모티브 삼아 1957년 핵심 이론인 '인지부조화이론'을 발표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우리 내부에는 한 사람의 가치관이나 믿음을 언제나 동일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일관성의 동기가 작동한다고 한다. 시커스의 교주는 키치였다. 자신이 하늘을 나는 원반과 교신했다면서 1954년 12월 21일 대홍수가 일어나 이 세상이 끝난다고 예언했다.

 

 물론 선택받은 신자들만 원반을 타고 구원을 받을 것이라고 했다. 신도가 급증했다. 생업을 포기하고, 전 재산을 팔아 기부하고, 기도에 매달렸다. 하지만 홍수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그 이후의 상황이다.

 

 리더 키치는 '여러분의 기도로 지구 종말을 막을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종말이 오지 않았는데도 이탈자가 없었다. 이유는 신자들이 이 종교에 큰 관여를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재산, 집, 학교와 직장을 그만둔 그래서 되돌아갈 수 없었기에 자신에게 유리하게 해석을 만들어냈다. 사람들은 비진리도 자신에게 맞게 진리로 각색할 수 있다. 종말론으로 사기를 치는 교주들은 항상 이렇게 끝을 맺는다. 어리석은 사람들만 당하는 것이다.

 

 종말에 대하여 성경은 '그 날짜와 그 시각은 아무도 모른다. 하늘의 천사들도 모르고 아들도 모른다. 오직 아버지만 아신다.'(마가복음 13장 32절)라고 했다. '시각'은, '호라'인데, '자연의 법칙에 따라 고정된 일정하며 제한된 시간', '시점'을 말한다. 오직 하나님에게 속한 영역이라는 것이다.

 

 예수님도 모르신다고 하셨다. 그런데 어떻게 인간들이 알겠는가?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 오늘 하루 최선을 다했으면 종말이 왜 그리 궁금한가! 지구의 종말이든, 개인의 종말이든 언제나 오면 기꺼이 맞이하면 된다. 하지만 쉽지 않다. 은평온누리교회 담임 박병문목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