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글로벌 양질물류 부동산 임대료, 홍콩 최고, 상하이 제6위

 

홍콩
 
씨비 리타드 엘리스 그룹(CBRE)의 최신 글로벌 양질 물류 부동산 임대료 보고에 따르면 글로벌 10대 양질 물류 임대료 최고 시장㎡ 랭킹에서 아시아가 6석을 점했다. 그 중 홍콩이 글로벌 양질 물류임대료 최고 시장 첫 자리를 차지하고 상하이가 제6위, 선쩐(深圳)이 제10위에 위치했다.
6월 2일 로이터사 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양질 부동산 임대료 연간 성장률 최고 20개 시장에서 닝버, 항저우, 난징, 우시, 수저우와 상하이(宁波,杭州,南京,无锡,苏州,上海)가 등장했다.
보고에 따르면 홍콩시장의 양질 물류지대 연간 임대료는 311.52달러/㎡으로 제2위의 도쿄(180.2달러)에 비해 70% 높았다.
 런던(176.11달러)과 싱가포르(117.44달러)가 각기 제3위와 제4위에 위치하고 제5위는 스웨덴의 스톡홀름이고 상하이와 선쩐의 임대료는 각기 101.62달러/㎡와 89.02달러/㎡였다.
CBRE는 양질의 물류부동산 임대료 수준은 당전 경제환경 둔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계속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공급 사슬 확장, 현대 물류플랫폼과 경영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절박한 수요가 물류 부동산 공급 부족세를 초래하면서 임대료 수준을 끊임없이 제고시키고 있다.
물류 부동산 개발토지가 제한적이고 정부 정책지지, 전자상무 발전 및 현대화 물류 시장 설립 수요가 모두 글로벌 각 지역 시장 물류 부동산 임대료 상승을 추진하는 요인으로 되고 있다.
CBRE 공업과 물류 서비스부의 뤄진(罗瑾) 중국구 집행이사는 양질의 물류 부동산 임대료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은 양질 구간의 높은 표준의 물류 공간시설 공급 부족과 강세수요간 불평형이 초래한 것이라고 말했다.
토지가 특별히 결핍한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선쩐 등 1선 도시들에서 토지 가격이 지속적으로 높은 수위에 처하고 토지집약적 이용 요구가 절박함에 따라 개발상들이 부득불 여러층 창고를 설치함으로서 끊임없이 증가하는 임대료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창고 건설 원가는 같은 표준의 단일층 창고에 비해 25%나 더 높다.


위기사에 대한 법적 문제는 길림신문 취재팀에게 있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강서구, 김포공항 고도제한 70년 만에 대전환 "더 이상 고장난 레코드는 없다"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고장난 레코드처럼 수십 년 반복된 ‘고도제한 완화’ 구호를 이제 실행으로 바꾸겠습니다.” 진교훈 서울 강서구청장은 9월 11일 마곡안전체험관에서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기준 개정에 따른 변화와 김포공항에 대한 구체적 적용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발표는 항공안전과 도시개발의 조화를 명시한 국제기준 변화에 맞춰, 실제 운항절차에 근거한 합리적 고도관리 체계를 마련해 주민 삶과 도시 잠재력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 70년 만의 국제기준 개정, 안전과 개발의 균형 명문화 ICAO는 지난 8월 항공고도 관리 기준을 70년 만에 전면 개정했다. 기존 단일 기준인 ‘장애물 제한표면(OLS)’을 ‘장애물 금지표면(OFS)’과 ‘장애물 평가표면(OES)’으로 세분화해 필수 구역은 철저히 보호하되 불필요한 제한은 완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핵심이다. “사용하지 않는 표면은 보호할 필요가 없으며,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역은 개발을 위해 해제할 수 있다”는 원칙이 개정서문에 명시됐다. 새로운 기준은 2030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