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터키 쿠데타 권력강화용? '사형제' 부활조짐


 

[데일리연합 김준호기자] 쿠데타 진압하자마자 마치 미리 준비한 듯 명단 갖고 와서 군인, 판검사 수천 명 체포하고 공무원들 직위 해제시켰다.
 

터키 대통령이 권력 강화하기 위해서 쿠데타 꾸민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쿠데타 당시 수도 앙카라의 터키 정보기관이 공격당했다.
 

반란군들이 헬기에서 건물 입구와 도로 곳곳에 공습을 가하고, 정보기관원들이 헬기를 향해 응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르도안 대통령이 머물던 휴양지의 한 호텔에서는 군인들이 습격했지만 이미 대통령은 떠난 뒤로 알려졌다.
 

쿠데타 이후 터키 정부가 체포해 구금한 인사들은 장군 112명을 포함한 군인들과 판사, 검사 등 7천5백여 명으로 늘었다.
 

또 경찰을 비롯해 공무원 9천 명가량을 직위 해제시켰다.
 

사형제를 부활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와 관련해 터키는 쿠데타 전에 체포대상 리스트, 이른바 살생부를 마련했다는 의혹이 유럽연합에서 제기됐다.
 

특히 독일 등은 터키가 사형제를 부활할 경우 EU가입이 불가능해질 거라고 압박했다.
 

터키가 쿠데타 배후로 지목한 이슬람학자 귈렌의 송환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은 터키정부에 자제할 것과 법치를 준수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내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가속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성능·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여, 고용량·고속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학습 및 추론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제품을 출시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를 예고한다. 미국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기업들은 자체적인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