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터키 쿠데타 권력강화용? '사형제' 부활조짐


 

[데일리연합 김준호기자] 쿠데타 진압하자마자 마치 미리 준비한 듯 명단 갖고 와서 군인, 판검사 수천 명 체포하고 공무원들 직위 해제시켰다.
 

터키 대통령이 권력 강화하기 위해서 쿠데타 꾸민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쿠데타 당시 수도 앙카라의 터키 정보기관이 공격당했다.
 

반란군들이 헬기에서 건물 입구와 도로 곳곳에 공습을 가하고, 정보기관원들이 헬기를 향해 응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르도안 대통령이 머물던 휴양지의 한 호텔에서는 군인들이 습격했지만 이미 대통령은 떠난 뒤로 알려졌다.
 

쿠데타 이후 터키 정부가 체포해 구금한 인사들은 장군 112명을 포함한 군인들과 판사, 검사 등 7천5백여 명으로 늘었다.
 

또 경찰을 비롯해 공무원 9천 명가량을 직위 해제시켰다.
 

사형제를 부활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와 관련해 터키는 쿠데타 전에 체포대상 리스트, 이른바 살생부를 마련했다는 의혹이 유럽연합에서 제기됐다.
 

특히 독일 등은 터키가 사형제를 부활할 경우 EU가입이 불가능해질 거라고 압박했다.
 

터키가 쿠데타 배후로 지목한 이슬람학자 귈렌의 송환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은 터키정부에 자제할 것과 법치를 준수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창원특례시, 통합 전후 역대 시장 사진 한자리에 모아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창원특례시는 10일 시청 시민홀에 통합 전 역대 창원·마산·진해시장과 통합창원시장의 사진을 한곳에 모은 전시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사진현판 제막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통합창원시 출범 15주년을 맞아, 과거 창원·마산·진해시 시절부터 현재까지 시정 발전을 위해 헌신해 온 역대 시장들을 한자리에 기념하고, 시민과 함께 지역의 역사를 돌아보는 뜻깊은 취지에서 마련됐다. 창원은 1974년 국가공업단지로 지정된 이후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적 도시로 성장, 마산은 1899년 개항 이후 수출항으로 발전하며 한국 경제를 이끈 도시로, 노동운동과 민주화의 중심지 역할, 진해는 20세기 초반부터 해군의 중심 도시로 군사안보의 중추를 담당해 왔다. 이러한 세 도시의 독특한 정체성이 융합되어 2010년 7월에 통합창원시가 탄생했고, 대도시로의 행정·재정 자치권이 확대된 지금의 ‘창원특례시’로 더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오늘 제막된 사진현판은 통합창원시의 뿌리이자 미래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라며, “창원, 마산, 진해 통합의 정신을 되새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