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6.4℃
  • 맑음인천 7.4℃
  • 맑음수원 4.0℃
  • 박무청주 6.1℃
  • 박무대전 5.3℃
  • 박무대구 6.0℃
  • 박무전주 6.6℃
  • 구름많음울산 8.7℃
  • 박무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여수 13.0℃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천안 2.9℃
  • 구름많음경주시 4.7℃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국제

PRA 그룹 리더 라티샤 타란트(LaTisha Tarrant), 최고 인사 책임자 임명




데일리연합 최형석특파원= 버지니아주 노포크, 2022년 8월 5일  -- 글로벌 금융 서비스 회사 PRA 그룹 (나스닥: PRAA)은 8월 15일부터 라티샤 타란트를 최고 인사 책임자(CHRO)로 임명했다. 


타란트는 20년 이상의 공기업 경험을 새로운 직책에 적용하고, 회사의 고위 경영진에 합류하여 글로벌 인적 자원 운영을 총괄할 것이다. 타란트는 현재 수석 부사장, 법률 고문 및 기업 비서로 재직 중이며 2016년 PRA 그룹에 합류한 이후 여러 리더십 직책을 역임했다.


타란트는 "인재 채용, 개발 및 유지는 물론 회사의 다양성, 형평성 및 포용 이니셔티브를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의 성공에 필수적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역할을 맡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직원 참여를 강화하고 인재 풀을 확장하고 전 세계에서 하나의 팀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모든 사람이 최선을 다할 수 있는 포용적인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영향력 있는 전략을 개발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덧붙였다.


타란트는 PRA 그룹에 일하는 동안 미국 기업 법률 문제를 관리하고 ESG(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 이니셔티브를 주도했으며 인센티브 보상, 경영진 보상 및 기업 지배구조 문제에 대해 이사회에 조언했다. 그녀는 또한 임원 탐색 및 온보딩을 감독하며 최소 3명의 여성 이임원이 있는 "3+" 회사로 PRA 그룹의 인정을 받았다.

사장이자 CEO인 케빈 스티븐슨(Kevin Stevenson)은 "라티샤는 오랫동안 우리 직원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몸소 보여주었으며, 인사 부서를 이끄는 리더십 성공에 대한 그녀의 확고한 실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어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


2016년 PRA 그룹에 합류하기 전 타란트는 앤섬(Anthem, Inc.)(현재 엘레반스 헬스)에서 법률 고문(managing associate general counsel)을 담당했고 맥과이어우즈, LLP에서 선임 고문 및 파트너로 근무하면서 점점 더 큰 책임을 지는 역할을 맡았다. 


타란트는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법학박사(J.D.) 학위를 받았고 윌리엄 & 메리 대학교에서 국제관게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