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5.1℃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8.7℃
  • 맑음인천 8.6℃
  • 맑음수원 6.4℃
  • 맑음청주 10.1℃
  • 맑음대전 8.5℃
  • 구름조금대구 8.9℃
  • 맑음전주 9.2℃
  • 구름조금울산 10.1℃
  • 맑음광주 11.2℃
  • 구름많음부산 13.6℃
  • 구름많음여수 14.2℃
  • 구름많음제주 16.3℃
  • 맑음천안 5.3℃
  • 구름조금경주시 7.4℃
  • 구름많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국제

'우리에게는 지켜야 할 약속이 있습니다' - '교육은 기다릴 수 없습니다' 투자 기금, 위기에 처한 700만 아동 지원

데일리연합 미국 최형석 특파원 = 뉴욕,  2022년 8월 23일 비상 사태 및 장기화된 위기 상황에서의 교육을 위한 유엔 글로벌 기금 '교육은 기다릴 수 없습니다(Education Cannot, ECW)'는 오늘 2017년 기금 운영을 시작한 이래 전략적 파트너와 ECW 투자를 통해 700만 명에 달하는 아동 및 청소년(그 중 48.4%는 여아)을 지원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우리에게는 지켜야 할 약속이 있습니다: 연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New ECW Annual Results Report highlights impact of the United Nations global fund for education in emergencies and protracted crises as leaders race to deliver on the promise for universal, equitable quality education.
New ECW Annual Results Report highlights impact of the United Nations global fund for education in emergencies and protracted crises as leaders race to deliver on the promise for universal, equitable quality education.

ECW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2021년에만 위기 상황에 놓인 32개 국가의 370만 어린이를 지원했다. 같은 해에 기금의 코로나19 개입을 통해 추가로 1,180만 명의 어린이를 지원했으며, 코로나19 개입을 통해 지원한 아동의 총 인원은 3,120만 명에 달했다.


ECW는 2021년에 기록적인 미화 3억 8,860만 달러를 조달했으며, 기금에 대한 총 기부액은 현재 11억 달러를 돌파했다.


"교육보다 더 강력한 꿈은 없습니다. 우리는 모두에게 포용적이고 평등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합니다"라고 고든 브라운(Gordon Brown) UN 교육 특사  ECW 고위급 운영 위원회 의장은 말했다.


이 결과 보고서는 전 세계에서 위기에 처한 2억 2,200만 명의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에게 교육 지원이 시급하다는 충격적이고 새로운 추정치에 이어 나온 것이다. 여기에는 학교에 다니지 않는 7,820만 명과 학교에 다니지만 수학 및 읽기에서 최소한의 능력을 갖추지 못한 1억 1,960만 명이 포함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분쟁, 강제 이주, 기후로 인한 재난, 코로나19 팬데믹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비상 사태에서의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했으며, 2020년의 14억 달러였던 기금에 대한 수요는 2021년에 29억 달러에 도달했다. 2021년에 교육 기금 조달이 사상 최대치인 6억 4,500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전반적인 지원 격차는 2020년 60%에서 2021년 77%로 17%나 크게 증가했다. 


2023년 2월 제네바에서 열리는 ECW의 고위급 파이낸싱 컨퍼런스와 2억 2,200만의 꿈(222 Million Dreams) 캠페인에서는 정부 기부자, 민간 부문, 재단 및 고액 자산가들에게 ECW에 상당한 자금을 기부함으로써 약속을 행동에 옮길 것을 촉구할 것이다.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Education Cannot Wait, ECW)의 교육 책임자인 야스민 셰리프(Yasmine Sherif)는 "ECW의 운영 첫 5년 동안의 확실한 결과는 우리가 위기에 처한 소년, 소녀들에게 양질의 교육에 대한 희망과 보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증거입니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