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1.6℃
  • 맑음수원 12.8℃
  • 맑음청주 12.9℃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맑음전주 13.0℃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여수 13.8℃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천안 12.0℃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내각 후보자들 '위장전입' 논란에 '청와대 공식사과'


[데일리연합 김민제기자] 내각 후보자들의 잇단 위장전입 논란에 청와대가 공식 사과했다.


그러면서 대선과정에서 내세운 인선기준은 현실적 제약이 있다며 이해와 협조를 국회에 요청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최근의 인사 논란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선거 과정에서는 공정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취지로 5대 비리에 연루된 인사는 배제하겠다고 했지만, 실제 정권을 운영해보니 현실적 제약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이낙연 국무총리·강경화 외교장관 후보자에 이어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해서도 위장 전입 의혹이 제기됐다.


1997년에는 경북으로 이사하면서 아들 주민등록지를 경기 구리시로 옮겼고, 2004년에는 미국 연수를 가면서 서울 목동으로 주소지를 옮겼다는 것이다.


공정위는 당시 김 후보자 배우자의 지방 전근과 미국 연수 기간 동안 우편물 수령 문제 등이 있었다며 법을 위반할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검증 과정에서 알고 있었던 사안이지만, 법률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공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위장전입이 3년 이하 징역과 1천만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하는 명백한 위법행위라는 점에서, 정치권의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우건설 “13년째 멈춰선 동작구 재개발, ‘더 좋은 집’ 약속 뒤 남겨진 책임 공백”

서울 동작구 본동 441번지 일대에서 시작된 지역주택조합 방식의 재개발 사업이 13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주민들은 “노후 주택을 철거하고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에 들어가게 해주겠다”는 제안을 믿고 수억 원의 분담금을 냈지만, 지금은 집도 신용도 잃은 채 법정 앞에 섰다. 이 사업은 조합 조건의 미비, 대기업의 채무보증 구조, 행정기관의 인허가 책임 유보 등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며 한국 재개발 시스템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조합의 구조적 결함 2007년 설립된 ‘노량진본동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자·전용면적 60㎡ 이하 주택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조합원을 모집했다. 조합원들은 아파트 한 채를 기대하며 1인당 2억~3억 원대의 분담금을 냈다. 하지만 조합은 토지확보율, 조합원 동의율 등 사업 추진에 필수적인 조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조합장은 수백억 원대 횡령 혐의로 실형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조합의 내부 부실이 사업의 본궤도 진입을 막았고, 결국 2012년 약 2 700억 원 규모의 대출금 만기 상환을 못해 파산 상태에 빠졌다. 대기업의 채무보증과 책임 회피 논란여전.시공사로 선정된 대우건설은 조합의 PF 대출에 연대보증 형태로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