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13.4℃
  • 맑음인천 11.6℃
  • 맑음수원 12.8℃
  • 맑음청주 12.9℃
  • 맑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5.1℃
  • 맑음전주 13.0℃
  • 구름많음울산 14.4℃
  • 맑음광주 12.9℃
  • 구름조금부산 17.3℃
  • 맑음여수 13.8℃
  • 구름많음제주 15.2℃
  • 맑음천안 12.0℃
  • 구름많음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4.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일자리 11만개' 새정부 최초 추경 편성


 

[데일리연합 김민제기자] 새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11조 2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 예산안이 편성됐다.


11만 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고, 급여를 올려 일자리 여건을 개선하는데 대부분 쓰일 예정이다.


11조 2천억 원 규모로 편성된 추경의 핵심 목표는 일자리 창출이다.


공공과 민간을 모두 합쳐 11만 개의 일자리를 만드는데 4조 2천억 원이 들어간다.


공공부문에선 보육교사와 치매관리사 등 사회서비스 일자리 2만 4천 개와 노인 일자리 3만 개를 확보한다.
 

또한 하반기에는 경찰과 소방관 등 공무원 만 2천 명을 추가 채용할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이 청년 3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세 번째 근로자 임금을 정부가 지원하는 등 민간 일자리도 3만 9천 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지방에 배정되는 3조 5천억 원도 최대한 일자리 확대에 쓰이도록 할 방침이다.


급여를 올려 주는데에도 1조 2천억 원이 투입된다.


육아휴직 첫 3개월간 급여를 2배 인상하고, 노인 일자리 급여를 월 22만 원에서 27만 원으로 5만 원 올리기로 했다.


노인치매센터 205곳을 신설하고, 전국 초등학교에 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설치하는 등에도 2조 3천억 원이 배정됐다.


한편 정부는 추경안을 내일 국회에 제출하고 6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되면 다음 달부터 집행할 계획이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대우건설 “13년째 멈춰선 동작구 재개발, ‘더 좋은 집’ 약속 뒤 남겨진 책임 공백”

서울 동작구 본동 441번지 일대에서 시작된 지역주택조합 방식의 재개발 사업이 13년째 지지부진한 상태다. 주민들은 “노후 주택을 철거하고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에 들어가게 해주겠다”는 제안을 믿고 수억 원의 분담금을 냈지만, 지금은 집도 신용도 잃은 채 법정 앞에 섰다. 이 사업은 조합 조건의 미비, 대기업의 채무보증 구조, 행정기관의 인허가 책임 유보 등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며 한국 재개발 시스템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 조합의 구조적 결함 2007년 설립된 ‘노량진본동지역주택조합’은 무주택자·전용면적 60㎡ 이하 주택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조합원을 모집했다. 조합원들은 아파트 한 채를 기대하며 1인당 2억~3억 원대의 분담금을 냈다. 하지만 조합은 토지확보율, 조합원 동의율 등 사업 추진에 필수적인 조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던 것으로 보고된다. 또한, 조합장은 수백억 원대 횡령 혐의로 실형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조합의 내부 부실이 사업의 본궤도 진입을 막았고, 결국 2012년 약 2 700억 원 규모의 대출금 만기 상환을 못해 파산 상태에 빠졌다. 대기업의 채무보증과 책임 회피 논란여전.시공사로 선정된 대우건설은 조합의 PF 대출에 연대보증 형태로 개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