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38년 만에 '미사일 족쇄' 풀렸다


 


[데일리연합 김민제기자] 탄두는 폭약과 뇌관, 유도장치 등이 담겨있는 탄도미사일의 핵심장비다.


규모와 중량에 따라 그 파괴력이 비례하는데, 한미 정상 간의 이번 합의로 앞으로 우리 군이 보유할 탄도미사일은 사실상의 전략무기가 될 거란 관측이 우세하다.


지난 4일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맞서 우리 육군이 무력시위에 내세웠던 탄도미사일, 현무-2A다.


우리 군이 보유한 탄도미사일 가운데 가장 무거운 1.5톤짜리 탄두를 장착할 수 있지만, 최대 사거리가 300km에 불과해 동해안이나 군사분계선 인근에서 쏴야 280km 떨어진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을 겨우 타격할 수 있다.


현재 전략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현무-2C는 최대 800km까지 날아가 전국 어디서나 북한 전역을 타격할 순 있지만, 탄두 중량 한계가 500kg에 그쳐, 가까스로 비행장 활주로 정도를 파괴할 수 있는 수준이다.


지하 수십 미터를 뚫고 들어가 깊숙이 숨겨진 핵시설이나 북한 지휘부의 은신처를 파괴할 수 있는 벙커버스터 기능은 기대 조차할 수 없는 것.


'교환' 방식에 따라 사거리를 늘리면, 탄두 중량을 줄여야 하는 한미 미사일지침 때문이다.


하지만, 한미 정상간 합의로 우리나라는 38년 만에 이른바 '미사일 족쇄'에서 벗어났다는 평가다.


탄두 중량 제한 자체가 아예 없어져 탄두 중량을 대폭 늘리는 것이 가능해졌고, 북한 핵·미사일에 대응한 우리 군의 3축 체계 가운데 하나인 대량응징보복의 실효성도 높일 수 있게 됐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서대문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으로 복합재난 대응력 강화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서대문구는 최근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관 일대에서 진행한 ‘2025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성공리에 마무리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훈련은 ▲지진에 따른 건축물 붕괴와 화재 ▲전기·가스시설 파손 ▲도로 싱크홀 및 인근 산불 확산 등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해 이루어졌다. 단일 재난이 다른 재난으로 연쇄 확산하는 ‘복합 재난’의 특성을 반영해 현장 지휘·통제·복구 기능이 동시에 가동되는 통합형 훈련으로 추진했다. 서대문구청, 서대문소방서, 서대문경찰서,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3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각 기관은 재난 발생 시 상황판단 회의를 통한 신속한 의사결정과 유관기관 협조 체계를 점검했다. 이를 위해 통합지원본부 토론훈련과 실전형 현장훈련을 연계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서는 소방 헬기와 로봇견(로봇개)을 활용한 입체적 화재 진압과 인명 수색 장면이 시연돼 실전 같은 긴장감을 더했다. 또한 서대문구청 ▲도로과의 ‘GPR(지반탐사 레이더) 차량을 통한 이화여대 일대 지반 공동 탐사’ ▲푸른도시과의 ‘안산(鞍山) 자락 잔불 진화’ ▲재난안전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