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서유럽에서 영국 비만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서유럽에서 영국 비만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체질량지수 (BMI)가 30을 넘어서는 영국 인구가 26.9%에 달하며, 영국은 서유럽에서 가장 ‘뚱뚱한’ 나라로 밝혀졌다.

영국 일간 가디언지는 OECD의 조사를 인용해 이 같이 밝히며, 이번 수치는 1990년 이후 영국의 비만율이 92% 증가한 수치라고 보도했다. 또한 이는 영국 국민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뜻하며, NHS의 부도 가능성도 커지는 것이라고 전했다.


사진: 가디언


영국 국가비만포럼(National Obesity Forum) 대변인 탬 프라이(Tam Fry)는 "지난 30년 동안 연이은 정부들은 비만을 해결하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오늘날 테레사 메이 행정부 역시 2050년에 절반 넘는 영국인이 비만이 될 것이라는 공식적인 수치를 줄이려 하거나 피하려는 시도만 한다.“고 꼬집었다.

영국 정부는 지난 해 어린이 비만에 대한 계획에 착수했을 당시 식품 산업계의 자율적인 조치에만 의지하고, 패스트푸드 마케팅이나 광고의 규제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비만은 흡연과 함께 암, 심장병, 뇌졸중, 당뇨병 등 현대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질병들의 주된 2가지 요인 중 하나로, 이번 OECD 보도에 따르면 영국은 11번째로 암 사망률이 높은 나라로 밝혀졌다. 하지만 당뇨병에 걸린 성인 수는 4.7%로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아일랜드와 함께 최하위를 기록했다. 지난달 세계 비만 포럼은 영국이 효과적인 비만 조치를 강구하지 못한다면, 비만으로 건강을 위협받는 사람들을 치료하기 위해 드는 금액이 2025년에는 일 년에 $19bn에서 $31bn 정도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영국 공중보건국 (Public Health England) 수석 영양학자인 앨리슨 테드스톤 (Alison Tedstone) 박사는 정부가 업계, 시의회와 함께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히며, “변화는 하루아침에 일어나진 않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한편, 이번 OECD의 조사에서 미국의 비만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을 멕시코, 뉴질랜드, 헝가리, 호주가 뒤이었다. 


영국 유로저널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층 디지털 소외 심화, 사회적 연대 강화로 해결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현재, 사회 전반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되고 키오스크, 모바일 앱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필수가 되면서,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권리마저 침해받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사회적 고립과 정보 접근성 불평등을 야기하며, 시급한 사회적 논의와 해결책 마련이 요구된다. 디지털 소외는 고령층의 건강, 금융, 복지 등 삶의 질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진료 예약, 모바일 뱅킹, 정부 지원금 신청 등 필수적인 서비스들이 디지털 환경으로 이동하면서, 디지털 접근성이 낮은 노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큰 장벽을 느낀다. 또한, 비대면 소통 방식의 확산은 가족 및 사회 구성원과의 단절을 심화시켜 심리적 외로움과 고독감을 증폭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키오스크 체험존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대부분 일회성이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