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국제

독일, 센트의 필요성 여부두고 논쟁

독일, 센트의 필요성 여부두고 논쟁


가치가 적은 센트 동전은 경제적으로 볼때 불필요할수 있다. 최근 독일내 센트동전 폐지 논쟁이 커진 가운데, 빠르게 동전을 폐지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것이 연방은행의 입장이다


  (사진출처: zdf.de)


지난달 24 독일의 주요언론들은 가치가 적은 센트동전이 불필요하다는 분위기가 커진 가운데, 연방은행의 입장을 보도했다. 1센트나 2센트 크기도 작고 가치도 적은 동전들은 원래의 가치보다 생산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것에 있어 지금까지 사용여부에 있어 많은 논쟁과 비판이 있어왔다.


하지만, 연방은행 대표 -루드비히 틸레 (Carl-Ludwig Thiele) 자신 또한 언젠가는 센트동전이 폐지되기를 희망하지만, „지금 현재 유로존에서 센트동전을 폐지하려는 기류는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 말하면서, „동전을 폐지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유럽연합 내에서 결정이 있어야 한다 강조했다.


그는 또한, 1센트 또는 2센트 동전이 폐지될 경우 상품이나 서비스 값들이 5센트를 중심으로 올림현상이 따르게 되어야 함을 설명하면서, 오랜기간 미리 5센트 중심의 올림규칙을 도입한다면 언젠가는 작은 동전이 자연스럽게 폐지되는 날이 따르게 것이라고 덧붙였다. 예를들어, 벨기에와 핀라드, 아일랜드, 그리고 네델란드는 국내에서 이미 5센트 중심의 올림규칙을 도입하고 있다.  


총체적으로 연방은행측은 1센트 2센트 동전을 계속 사용하느냐 아니냐는 소비가가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인 가운데, „우리의 지금까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다수가 작은 동전 유통을 유지하고 있어하는 것이다라면서, 결국은 국민들의 선택이며, 우리 연방은행은 수요에 따를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독일인들은 현금을 사랑하는 국민이다. ING-Diba은행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독일인의 84% 전진하는 디지털화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현금사용을 포기할수 없다는 의견을 내보인바 있다. 같은 의견을 보인 유럽전체 평균 국민 비율은 76%이다.


연방은행에 따르면, 현재 독일에서는 340억개의 1센트 동전과 260억개의 2센트 동전들이 유통되고 있으며, 구리도금의 작은 동전들의 일부들은 저금통에 머물러 있거나, 잃어벼려지고 있다. 


 독일 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시민의 편에서 시흥을 봅니다" 제6대 시민호민관에 박명기 전 시흥시 의회사무국장 위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시흥시는 시민의 권익 보호와 고충 민원 해결을 위한 독립 민원조정기구인 시민호민관에 박명기 전(前) 시흥시 의회사무국장을 지난 7월 1일 ‘제6대 시민호민관’으로 위촉했다. 이번 위촉은 ‘시흥시 시민호민관 운영에 관한 조례’ 제3조에 근거한 것으로, 시민의 권리 보호와 행정의 투명성 제고, 불합리한 제도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시민호민관은 민간 위촉직으로 상근 독임제 형태로 활동하며, 행정기관과 시민 간에 발생하는 갈등을 조정하고 고충을 해결하는 독립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임기는 4년이다. 박명기 시민호민관은 시흥시 공직생활 30여 년 동안 다양한 행정 경험과 지역 이해를 바탕으로 “사무실에만 머무르지 않고 직접 현장을 찾아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라며 “민원 부서와 시민 간 소통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누구나 편하게 찾을 수 있는 ‘시민 권익 보호 창구’가 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시민의 고충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시민호민관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박명기 호민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