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9.9℃
  • 맑음서울 6.4℃
  • 맑음인천 7.4℃
  • 맑음수원 4.0℃
  • 박무청주 6.1℃
  • 박무대전 5.3℃
  • 박무대구 6.0℃
  • 박무전주 6.6℃
  • 구름많음울산 8.7℃
  • 박무광주 8.4℃
  • 구름많음부산 12.7℃
  • 구름많음여수 13.0℃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천안 2.9℃
  • 구름많음경주시 4.7℃
  • 구름많음거제 10.0℃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한중 양국에서 활동하는 언론방송인이자 조연배우 귀환동포 대표 조명권

한중 양국에서 활약하는 조명권 귀환동포 언론인  조연배우로도 활발한 활동을


 
    한국 연예계에서 보수나 명리를 따지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활동영역에서
스크린 뒤의 영웅(막후영웅)으로 불리우고 있는 귀환동포 언론방송인이자
조연배우 조명권. 그의 언론과 연예분야에서의 활동은
한국주요매체들의 특별한 주목을 받았다.


 

    한류문화를 알리고 전파하는 일에 크게 공헌한 점을 인정하여
한국SNS기자연합회는 조명권을 한국SNS기자연합회 중국보도국
국장으로 특별 임명하였다. 중국내의 한류뉴스 보도 홍보 등을 전담하게 하였다.



 

    조명권  남. 170.cm
    하북미술대학교미디어학원 종신교수
    한국 전국 귀한동포총년합회 총회장
    세계화문대공미디어협회 수석 부회장
    해외화문미디어협회 부회장
    한국 신화신문사 사장
    중국 사천대학교 박사
    한국 뷰티대학교 명예 교수
    한국 뷰티대학교 교수위원회 위원
    서울 청담동 씨티칼리지 초빙 교수
    더불어민주당 중앙다문화위원회 부위원장 겸 중국동포특별위원회 위원장
    세계 한국상인총연합회 이사
    한중자유무역(FTA) 민간 상무위원회 수석 부위원장


 

专在中韩两地客串出演群众演员的韩籍华人代表曹明权

    在韩国影视界里,有一个不图报酬不图名利且喜欢默默无闻地愿充当群众演员人称幕后英雄的韩籍华人曹明权,
凭借吃苦耐劳而引起了韩国主流媒体的特别关注。

    签于曹明权能为传播和发扬韩流文化所做出的贡献,韩国SNS记者联合会,日前特别任命曹明权为韩国
SNS记者联合会中国报道局局长,专门负责对中国方面的韩流新闻报道宣传。

姓名:曹明权 
性别:男
国籍:韩籍华人
祖籍:中国山东省荷泽曹县

学历:中共中央党校研究生毕业
中国四川大学商学院博士生
中国河北美术学院传媒学院终身教授
韩国美容大学名誉教授
首尔清潭城市大学客座教授
韩国汉城大学客座教授
韩国美容大学教授委员会委员
美国加利福尼亚CALIFORNIAUNITEDUNIVERSITY联合大学艺术系名誉教授 

现任韩执政党共同民主党中央多文化委员会副委员长兼中国同胞特别委员会委员长
世界韩商总联合会理事
韩中自由贸易(FTA)民间商贸委员会首席执行委员长
海外华文新媒体合作发展联盟常务副主席
海外华文传媒协会副主席
韩国全国韩籍华人总联合会总会长
韩国新华报业董事长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