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Sasol, 또 다른 탄광 공식 개장하며 일자리 지원

요하네스버그, 2019년 4월 14일 -- Sasol 음푸말랑가(Mpumalanga)주에서 다른 탄광을 공식적으로 개발했다. 이곳에서는 세계적인 규모로 석탄을 채굴해 고가치 연료와 화학 제품으로 만든다.

줄루어로 '성공' 뜻하는 Impumelelo R140 규모의 광산 교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Sasol 지난 10년간 개발한 3곳의 세계적 수준 탄광 하나다. 나머지 곳은 Thubelisha Shondoni. 탄광 개장식에는 광물자원부 장관 Gwede Mantashe 참석했다.

R56억의 투자금이 투입된 Impumelelo 연간 1,050 톤의 석탄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광에는 현재 1,760명이 일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이 근처 음푸말랑가 지역사회 출신이다.

Sasol 공동 사장 CEO Bongani Nqwababa " 탄광은 4,000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최소 2050년까지 자사의 Secunda Synfuels Operations 공급할 석탄을 확보할 "이라고 말했다.

이들 탄광에는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Sasol 환경뿐만 아니라 직원 안전까지도 보장하기 위해 탄광의 첨단 기술적 조처에 투자했다.

Nqwababa 대표는 "여기에는 생산 전기 무트랙 기계에 장착된 근거리 탐지 시스템도 포함된다"라며 " 시스템은 사람이 너무 가까이 있을 경우 경고를 보내고, 최종적으로 기계를 중단시킨다" 말했다.

이들 탄광에 설치된 다른 기술은 지하 안전 예방을 높이는 전기 트리거 LED 류광 시스템이다. 시스템은 지붕이 움직일 광부들의 시선을 끄는 역할을 한다. 소음을 줄이는 다양한 기술에도 투자가 이뤄졌다.

Sasol 업스트림 포트폴리오에 속하는 광산 사업은 연간 석탄 생산량이 4천만 톤으로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번째로 규모를 자랑한다. 광산 사업은 Sasol 수익 13% 차지하며, 세계 통합 화학물질과 에너지 기업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Sasol 소개:

Sasol 세계적인 통합 화학에너지 기업이다. Sasol 재능있는 사람을 통해 고객, 주주 기타 이해관계자를 위한 우수한 가치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창출한다. 회사는 일반 전문 화학물질, 가스와 액상 연료 저탄소 전기를 생산하고 상업화하고자 세계적 수준의 운영 시설로 정교한 기술을 통합한다.

Alex Anderson, Head of Group Media Relations
직통전화: +27 (0) 10 344 6509; 모바일: +27 (0) 71 600 9605;   

Matebello Motloung, Senior Specialist: Media Relations
직통전화: +27 (0) 10 344 9256; 모바일: +27 (0) 83 773 9457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개인정보위, 파파존스 이어 써브웨이도 조사…'고객정보 노출' 취약점 반복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대영 기자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일 샌드위치 프랜차이즈 써브웨이에 대한 개인정보 유출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6일 한국파파존스㈜에 대한 조사에 이어 닷새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두 업체 모두 홈페이지 주소(URL)의 숫자만 변경해도 다른 고객의 정보가 노출되는 동일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개인정보위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써브웨이 홈페이지에서 URL 뒤 숫자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별도의 인증 없이 다른 고객의 연락처, 주문 내역 등이 확인되는 정황이 파악됐다"며 "구체적인 유출 경위와 피해 규모, 안전조치 이행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사에 들어간 한국파파존스 역시 유사한 '파라미터 변조' 방식의 취약점이 드러났다. 회사 측은 조사 착수 하루 전인 지난달 25일, 홈페이지 소스코드 관리 미흡으로 인해 2017년 1월 이후의 고객 주문정보(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가 외부에 노출됐다고 신고했다. 개인정보위는 두 업체 모두에 대해 ▲유출 경위 및 피해 규모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이행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특히 한국파파존스의 경우, 개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