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5.2℃
  • 맑음강릉 12.0℃
  • 맑음서울 8.1℃
  • 맑음인천 9.5℃
  • 박무수원 8.8℃
  • 박무청주 7.6℃
  • 흐림대전 7.5℃
  • 맑음대구 9.0℃
  • 맑음전주 10.7℃
  • 구름조금울산 12.3℃
  • 맑음광주 10.6℃
  • 구름조금부산 17.2℃
  • 구름조금여수 13.6℃
  • 맑음제주 17.8℃
  • 맑음천안 5.4℃
  • 맑음경주시 9.0℃
  • 맑음거제 14.1℃
기상청 제공

국제

FAO와 함께 29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아시아 토양지도 편찬회의’ 개최

 
[데일리연합뉴스 이권희기자]              
농촌진흥청은 지속가능한 농업의 기반이 되는 토양 관리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국제연합세계식량농업기구(FAO)와 함께 29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아시아 토양지도 편찬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FAO는 지속가능한 토양 관리를 위해 ‘토양에 관한 정부 간 기술위원회(ITPS ITPS: The Intergovernmental Technical Panel on Soils)’를 설립하고 세계 토양의 날(12월 5일)을 제정했다. 또한 대륙별로 지속가능한 토양 관리 지침 마련과 세계 토양정보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의 공동적인 토양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존에 나라별로 구축돼 있던 토양분류 자료를 FAO 토양분류기준(WRB WRB: World Reference Base ) 기반으로 호환시켜 기초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 이렇게 구축된 정보는 작물 생산성 향상, 토양 기능 강화, 환경보호 등 아시아 토양 관련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번 편찬회의는 아시아 국가별로 보유한 토양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토양지도를 작성하고자 마련된 자리이다. FAO를 비롯해 유럽연합집행위원회 공동연구센터(EC-JRC), 국제염류농업센터(ICBA), 국제 지중해 농업 연구센터(CIHEAM) 등 국제기구와 아시아 11개국의 토양관련 연구기관이 참석한다. 

  헝가리, 이탈리아, 러시아 등의 토양조사분야 최고의 전문가와 국내외 토양분야 연구자 30여 명은 밭토양, 논토양, 간척지토양 등 현장에서 FAO 토양분류체계 기반 토양조사 및 토양분류법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미국 토양분류체계(Soil Taxonomy) 등 각국의 분류체계와의 호환 방안을 논의한다. 

  이어 아시아 토양지도 발간과 관련해 토양의 기능, 분류체계, 매핑, 토지 관리와 이용변화, 토양퇴화 방지대책, 국가별 연구·정책·교육·홍보 등에 대한 내용을 비롯해 아시아 국가별 토양 현황, 문제점 해결방법 등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향후 계획을 공유하는 시간을 갖는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과 홍석영 과장은 “아시아 토양지도 편찬회의는 아시아 농경지 토양의 지속적인 보전과 관리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앞으로 농촌진흥청이 아시아 토양지도와 토양정보시스템 구축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강서구, 'AI 강서 비전' 선포... 인공지능 특화도시로 첫발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서울 강서구가 ‘AI(인공지능) 특화도시’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구는 4일(화) 마곡 서울창업허브엠플러스에서 ‘AI 강서 비전 선포 및 업무협약식’을 열고, 민·관·학 14개 기관과 ‘AI 특화도시’ 조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협약에는 강서구를 비롯해 교육, 안전, 의료·복지, 경제, 4차산업 신기술 등 6개 분야 14개 기관이 참여했다. 참여 기관은 ▲강서양천교육지원청 ▲강서대학교 ▲서울디지털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강서캠퍼스 ▲강서경찰서 ▲강서소방서 ▲한국공항공사 김포공항 ▲강서미라클메디특구협의회(이화여자대학교의료원) ▲강서구사회복지기관협회 ▲마곡입주기업협의회 ▲서울창업허브엠플러스 대표자협의회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인공지능협회이다. 협약에 따라 기관들은 각 기관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적극 활용해 민·관·학 협력 기반의 AI 생태계 조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AI 인프라 구축 및 지원 ▲주민 일상에 AI 도입 및 활용 범위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 ▲4차산업 인재 양성 등이다. 이어 진행된 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