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6℃
  • 맑음강릉 9.4℃
  • 맑음서울 5.7℃
  • 맑음인천 7.0℃
  • 맑음수원 4.1℃
  • 박무청주 6.5℃
  • 안개대전 5.2℃
  • 박무대구 5.6℃
  • 박무전주 6.2℃
  • 구름조금울산 7.6℃
  • 박무광주 7.9℃
  • 구름조금부산 12.0℃
  • 구름조금여수 12.7℃
  • 구름조금제주 15.0℃
  • 맑음천안 2.2℃
  • 맑음경주시 4.3℃
  • 맑음거제 9.8℃
기상청 제공

국제

국제포커스]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Korea Global Forum for Peace 2019)」를 개최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국제포커스]            
통일부와 세종연구소는 6월 19일(수)  ‘함께 만들어가는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Korea Global Forum for Peace 2019)」를 개최한고 밝혔다.

  통일부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국내와 국제사회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2010년에 「한반도국제포럼」을 창설하였다. 이후 매년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등에서 한반도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한반도의 정세를 진단하고 정책 방향을 논의해 왔다.

  통일부는 3.1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 정착에 대한 염원을 담아 「한반도국제평화포럼」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함께 만들어가는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이루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는 김연철 통일부 장관의 기조연설과 총 2개의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제1세션은 ‘한반도 평화, 동북아의 평화’를, 제2세션은 ‘한반도 비핵화 전망과 도전’을 주제로 진행된다.

  제1세션에서는 고유환 동국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보고,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 연구 위원, 프랑크 자누지 미국 맨스필드재단 회장, 존 닐슨 라이트 영국 채텀하우스 선임 연구원, 스인홍 중국 인민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할 예정이다.

  제2세션에서는 이종석 전(前) 통일부 장관의 사회로 진행되며, 글레브 이바쉔초프 전(前) 주한 러시아대사, 요이치 카토 일본 아시아퍼시픽이니셔티브 선임 연구 위원, 김준형 한동대학교 교수, 레온 시걸 미국 사회과학연구위원회 국장, 양시위 중국 국제문제연구원 수석 연구원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통일부는 세종연구소와 함께 「한반도 국제평화포럼 2019」 서울 행사를 시작으로 7월에는 일본, 9월에는 중국과 러시아, 11월에는 미국에서 세미나를 개최하여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촉구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상주시, 제24회 척수장애인 정보교환 및 재활증진대회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사)한국척수장애인협회 상주시지회는 11월 4일 상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제24회 상주시 척수장애인 정보교환 및 재활증진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대회에서 상주시지회를 위해 헌신한 모범장애인에 대한 경북협회표창과 모범장애인에 대한 상주지회의 감사패를 전달했으며 은자골탁배기(임주원 대표), 상주시장애인후원회(김태희 회장), 주식회사 더함기전의 후원금 전달이 있었다. 또한, 척수장애인합창단 ‘노바싱어즈’및 여섯줄기타 공연, 대한적십자사봉사회 상주시협의회에서 중식 제공 등 풍성하고 다양한 레크리에이션으로 척수장애인협회 회원 및 보호자와 자원봉사자 등 300여 명이 화합과 어울림의 한마당으로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한국척수장애인협회 상주시지회는 지역 내 척수장애인의 교육·문화·재활지원 및 휠체어수리사업을 통해 사회적 지위 향상과 자립심을 고취시키고 척수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제24회 척수장애인 정보교환 및 재활증진대회를 축하드리며 함께 잘 사는 존심애물 복지상주를 위하여 상주시는 지역사회 장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