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1.2℃
  • 맑음강릉 4.3℃
  • 맑음서울 0.7℃
  • 맑음인천 1.1℃
  • 맑음수원 1.0℃
  • 맑음청주 3.4℃
  • 구름많음대전 4.1℃
  • 구름조금대구 5.9℃
  • 흐림전주 4.9℃
  • 맑음울산 4.9℃
  • 구름많음광주 5.9℃
  • 맑음부산 6.1℃
  • 구름조금여수 5.9℃
  • 구름많음제주 10.3℃
  • 맑음천안 2.9℃
  • 맑음경주시 5.7℃
  • 맑음거제 5.7℃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세계골다공증재단, 새로운 골다공증 위험도 체크리스트 소개해

한국 서울 및 스위스 제네바, 2019년 10월 18일 PRNewswire -- 세계골다공증재단(Inter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IOF)이 올해 세계 골다공증의 날(10월 20일)을 맞아 IOF 골다공증 위험도 체크()를 새롭게 소개했다. IOF 골다공증 위험도 체크는 잠재적인 골다공증 위험 요인을 빠르고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는 온라인 설문지다. 이 설문지는 8개의 핵심 질문을 제시하고, 뼈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흔한 위험 요인들을 보여준다.

보거나 느끼지는 못하는 가운데 뼈는 약해질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50세 이상 여성 3명 중 1명이, 남성 5명 중 1명이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사고를 당한다. 골다공증은 뼈가 너무 약해져서 가볍게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것만으로도 뼈가 부러질 수 있는 상태에 이르는 숨은 질환이다.

2016 년에는 50 세 이상의 약 408 만 명이 골다공증을 앓 았으며 약 275,131 명의 취약한 골절이 발생했습니다. 이 숫자는 특히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더욱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한골대사학회 정호연 이사장은 "모든 고령자가 골다공증 위험을 인식해야 하며, 남녀 모두 위험에 노출돼 있지만,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률이 더 높다"며 "따라서 모든 60세 이상 여성들은 취약성 골절을 예방하는 첫걸음으로 자신의 골다공증 위험 요소를 확인하고, 의료진에 골밀도 검진을 요청해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에 힘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핵심적인 골다공증 위험 요인으로는 고령(노인의 경우 골다공증 위험이 더 높음), 50세 이후의 골절 경험(골다공증 적색경보), 저체중, 신장 감소, 부모의 대퇴골 골절이나 골다공증 가족력, 특정 질환, 뼈 손실과 연관된 특정 약물, 흡연 및 과도한 알코올 섭취 등이 있다.

세계골다공증재단 회장인 사이러스 쿠퍼(Cyrus Cooper) 교수는 "골다공증은 조용하고 은밀하게 다가와 한번 발병으로 큰 위험을 초래하며, 골다공증 골절은 장기적인 신체장애, 삶의 질 저하, 생활의 독립성 감소를 가져오기 때문에 위험도가 높은 사람은 시의적절하게 골다공증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우리는 뼈가 건강해야만 힘차고 활동적인 노년의 삶을 자주적으로 영위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가 정보:

추가 정보:

IOF 골다공증 위험도 체크:

골다공증에 관한 추가 정보: 대한골대사학회 웹사이트 ()

세계 골다공증의 날(World Osteoporosis Day, WOD):

10월 20일은 세계 골다공증의 날이다. 세계 골다공증의 날에는 전 세계적으로 골다공증과 골절 예방을 위한 활동이 전개된다. ()

세계골다공증재단(IOF) 소개:

세계골다공증 재단은 뼈 건강과 골다공증 예방에 전념하는 세계 최대의 비영리단체다. @iofbonehealth

미디어 문의:

- 세계골다공증재단(IOF), 로라 미스텔리(L.Misteli):

- 대한골대사학회 사무국: / 02-3473-2230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석열 전) 대통령 책임론, 내란재판 논의 통해 본 리더십의 그림자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윤석열 전직 대통령의 내란 관련 책임론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에서는 그 책임의 경중을 두고 내란죄와 같은 중대한 법적 심판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날선 공방이 오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 중심에는 한 나라의 최고 지도자였던 인물의 행적이 남기는 사회적 파장과 그에 대한 책임 있는 대응의 부재가 더욱 사회적 공분을 사고있다. 첫째, 책임론에 관한 근본적 문제는 전직 대통령이 퇴임 후에도 국가와 국민에 대한 무형의 책임감을 어떻게 이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 사회의 합의 부족에 있다. 대통령의 자리는 단순한 행정 수반을 넘어 국가의 통합과 미래를 책임지는 상징적 존재다. 따라서 그의 언행 하나하나는 내란재판중에도 국민 통합과 국론 분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표면적인 법적 공방 이면에는 전직 지도자로서 마땅히 보여야 할 책임 있는 리더십의 부재가 거론된다. 과거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기 상황이나 사회적 갈등 속에서 지도자의 책임 있는 자세는 국민적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었다. 그러나 내란재판에서 보여주는 전직 대통령의 책임 떠넘기기식 행보가 오히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