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방광암 환자, 소변주머니 대신 '인공방광' 대치수술


▲ 비뇨기과 이동현 교수가 인공방광수술을 하는 모습. (사진=이대목동병원 제공)

환자 자신의 소장으로 인공 방광을 만들어 주는 '인공방광수술'이 방광암 환자들의 소변 주머니를 사라지게 만들고 있다.

12일 이화여대목동병원에 따르면 인공방광수술은 자신의 소장으로 방광을 만들어 요관에 연결, 정상적으로 소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수술로, 기존 방광제거 수술에서 소변 주머니를 신체 외부에 만들어야했던 것을 보완한 것이다.

기존 수술에서 방광을 제거한 사람은 인체에 소변이 고이는 장소가 없어지므로 대개 소장을 20cm정도 절제한 후 요관을 한쪽에 연결하고 다른 쪽 끝을 복부 쪽 피부에 연결해 외부에 비닐 주머니를 차야만 했다.

이 같은 수술법은 안전하고 쉽게 할 수 있지만 소변 주머니를 복벽에 항상 부착하고 다녀야 하고 소변이 새는 경우가 많아 수시로 주머니를 갈아줘야 하는 등 환자나 보호자가 모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대목동병원에 비뇨기과 이동현 교수는 8시간 이상 걸리던 인공방광수술 시간을 반으로 줄이고 수혈 없이 수술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70대 고령 환자는 물론 고혈압, 당뇨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도 인공방광수술이 가능하게 했다.

이 교수는 "사람들의 기대수명이 100세로 늘어나면서 방광절제시 고령의 환자들도 인공방광대치술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앞으로도 환자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인공방광대치술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공방광 수술법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소변을 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신경 보존 수술법을 통해 성생활도 가능해 환자의 수술 만족도가 높다"고 밝혔다.

비뇨기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인 방광암은 크게 세 가지로 방광 내 점막에만 생기는 '초기 표재성방광암', 점막을 뚫고 근육까지 진행된 '근침윤성 방광암', 전신으로 퍼진 '전이성 방광암' 등이 있다.

암세포가 방광 내 점막을 뚫고 근육속까지 침투했을 경우엔 골반 주위 임파선, 전립선, 정낭 등을 포함해 전체 방광을 제거하는 수술이 이뤄진다. 


강태현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경북교육청, K-EDU EXPO 공식 캐릭터 '투투(ToTo)' 공개

데일리연합 (SNSJTV) 김재욱 기자 | 경북교육청이 오는 26일부터 28일까지 경주에서 주최하는 글로벌 교육축제 'K-EDU EXPO(케이에듀 엑스포)'의 공식 캐릭터 '투투(ToTo)'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한글 이름은 '함내(함께 내일로)'다. 이번 캐릭터는 엑스포 슬로건인 'Learn Together, Lead Tomorrow(함께 배우며, 미래를 열다)'에서 착안했다. 'To To'는 'Together, Tomorrow'를 압축해 표현한 것으로, 세계와 미래를 연결한다는 엑스포 정신을 담았다. 한글 이름 ‘함내’ 역시 ‘함께 내일로’의 줄임말로, 교육을 통해 글로벌 연대와 내일의 희망을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공개된 '투투'는 단일 캐릭터가 아니라 엑스포가 제시하는 여섯 가지 주제 영역을 바탕으로 다채롭게 변주된 12종의 캐릭터 버전으로 구성됐다. △교육으로 연결된 미래를 상징하는 '미래의 광장' △교육과 기술의 융합을 보여주는 '기술의 공방' △교육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문화의 뜰' △지역과 교육의 상생을 담은 '지역의 통로' △교육을 통한 세계의 연결을 표현한 '세계의 문' 등 주제를 반영한 모습으로 구현됐으며, 다양한 표정과 움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