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8.8℃
  • 맑음강릉 10.3℃
  • 흐림서울 10.2℃
  • 흐림인천 10.6℃
  • 구름많음수원 9.0℃
  • 맑음청주 8.8℃
  • 맑음대전 6.8℃
  • 맑음대구 7.9℃
  • 맑음전주 7.5℃
  • 맑음울산 7.2℃
  • 맑음광주 8.5℃
  • 맑음부산 9.7℃
  • 맑음여수 9.8℃
  • 맑음제주 11.3℃
  • 맑음천안 5.0℃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8.5℃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디경연, "디지털 패권 속 바람직한 플랫폼 정책방향은?' 토론회 연다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곽중희 기자 | 디지털경제연합(이하 “디경연”)이 오는 6월 19일 오전 10시, 여의도 FKI타워(한국경제인협회 본관) 3층 파인룸에서 “디지털 패권 경쟁 속 바람직한 플랫폼 정책방향은?”토론회를 개최한다.

 

ICT 대표 7개 협단체(벤처기업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한국게임산업협회, 한국디지털광고협회, 한국온라인쇼핑협회, 한국인터넷기업협회, 한국핀테크산업협회)로 구성된 디경연은 디지털산업 발전에 필요한 바람직한 정책변화를 모색하기 위해 설립된 협의체이다. 
  
최근 EU, 미국, 일본,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치열한 디지털 패권 경쟁 속에서 자국 플랫폼의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한 보호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알리, 테무 등 C-커머스의 국내 시장 공습이 심화되는 위기의 상황 속에서, 오히려 국내 플랫폼을 이중으로 옥죄는 플랫폼 규제 입법을 추진하여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AI 등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산업 구조 전반에 큰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에 디지털 경제에 대한 과도한 규제는 혁신을 저해하고 국내 산업의 폐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 실제 플랫폼 시장에 추가 규제가 필요할지, 신규 입법이 과연 시장경쟁을 활성화시킬지, 역으로 벤처․스타트업의 성장을 저해하지는 않을지 등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디경연은 플랫폼 규제가 우리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논의하고, 우리 플랫폼이 글로벌 디지털 패권 전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이번 토론회를 마련했다. 


토론회는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디지털경제연구원의 플랫폼 규제 동향에 대한 발표를 시작으로, 이후 전문가들이 모여 자유롭게 논의하는 라운드 테이블 방식으로 진행된다.

 

토론은 건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황용석 교수를 좌장으로 하여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융합학부 이대호 교수, 서강대학교 미디어&엔터테인먼트학과 사영준 교수, 순천향대학교 글로벌경영대학 곽규태 교수, 법무법인 세종 김지훈 수석전문위원,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최성진 대표, 벤처기업협회 유정희 본부장이 참여해 열띤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Xinhua Silk Road: 중국 남동부 취안저우, 세계유산 활성화로 관광 시장 회복 견인

베이징2025년 11월 21일 /PRNewswire/ --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UNESCO World Heritage Center) 라자레 엘룬두 아쏘모(Lazare Eloundou Assomo) 소장이 최근 대표단을 이끌고 중국 남동부 푸젠성 취안저우를 방문하면서, '송•원 중국의 해양 상업 무역 중심지'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 역사적 항구 도시가 다시 한번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유산 지정이 가져다준 글로벌 인지도는 취안저우의 인바운드 관광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세계유산 자원이 풍부한 이 도시는 최근 몇 년간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240시간 무비자 환승 프로그램 시행으로 취안저우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했다. 통계에 따르면 취안저우는 2025년 상반기에 약 40만 3900건의 인바운드 관광객 수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95.5% 증가한 수치다. 해외 관광객으로부터 발생한 관광 수입은 29억 9500만 위안(미화 약 4억 2100만 달러)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3% 늘었다. 이 같은 수치 뒤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