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한국씨티은행 2014년 3분기 당기순이익 1,058억원 시현

한국씨티은행(은행장 박진회, www.citibank.co.kr)은 2014년도 3분기에 3,685억원의 총수익 및 1,05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였다고 발표하였다. 2014년도 3분기의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779억원 증가하였으며, 총수익은 전년동기 대비 4.2% 및 전분기 대비 10.9% 각각 증가하였다. 2014년 9월말 현재, Basel3 기준의 BIS 자기자본비율 및 보통주자본비율은 16.67% 와 15.63%를 유지하였다. 

2014년 3분기 이자수익은 전년동기대비 7.1% 감소한 3,122억원을 기록하였다. 이는 이자부자산이 전년동기대비 5.7% 감소한 점과 스프레드 축소와 저금리기조 지속 등으로 순이자마진이 4bp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비이자수익은 보험상품판매수수료 감소에도 불구하고, 외환파생관련이익 증가와 투자상품판매수수료의 증가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60.9% 증가한 332억원을 기록하였다. 기타영업수익은 채권매매익 증가로 231억원을 기록하였다. 

금년 3분기 판매와 관리비는 지난 2분기의 희망퇴직 효과 및 지속적인 경영합리화를 통한 경비절감으로 전년동기대비 15.0% 감소한 2,075억원을 기록하였다. 

3분기 중 대손충당금 및 기타 충당금은 전년동기대비 556억원 감소한 169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대출자산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감소와 소송관련 충당금의 환입이 주요인이다. 고정이하여신비율(NPL Ratio)은 전년동기대비 28bps 개선된 1.15%이며, 대손충당금 적립비율 (NPL Coverage Ratio)은 리볼빙 카드자산에 대한 추가적인 대손준비금 적립으로 전년동기대비 79.4%p 증가한 258.8%를 기록하였다. 

2014년 9월말 현재, 고객자산은 가계대출의 증가로 전년동기말 대비 0.8% 증가하였다. 예수금은 고금리예금의 감축 등 예수금 최적화의 결과로 전년동기말 대비 5.4% 감소한 29.3조원을 기록하였으나, 예대율은 여전이 양호한 수준인89.7%를 기록하였다. 

박진회 은행장은 "어려운 영업환경에도 불구하고 3분기 실적이 개선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전분기대비 순이자마진이 개선되고 투자상품판매수수료와 외환파생관련이익 등의 비이자수익이 증가하는 등 고무적인 신호를 감지하고 있습니다. 씨티는 한국에서 소매금융 및 기업금융 전반에 걸쳐 균형있는 프랜차이즈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리의 우선과제는 고객 우선의 원칙에 중점을 두는 것입니다. 한국에서의 씨티는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라고 언급하였다.

조재연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유성구, 민선8기 성과 기반 ‘지속가능 미래도시’ 밑그림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대전 유성구가 민선 8기 주요 공약과 핵심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준비에 속도를 낸다. 또한, 창업·돌봄·마을·문화 등 4대 혁신을 중심으로 모든 행정 분야에서 변화와 혁신을 강화하고, 구민의 삶의 질 향상과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주력한다. 유성구는 14일부터 16일까지 3일 동안 구청 대회의실에서 ‘2026년 주요업무계획 보고회’를 열고 부서별 주요 정책 방향과 추진 전략을 점검한다. 이번 보고회는 단순 업무 계획 공유를 넘어, 구정 전반의 혁신 전략을 재정비하고 실질적 성과 창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어궁동 혁신창업생태계 성장 지원과 브랜드화 ▲골목형 상점가 확대 ▲청년 지원센터 운영 ▲유성온천문화체험관 건립 등 지역 경제·문화 활성화를 위한 사업이 눈길을 끈다. 복지 분야에서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유성구는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맞춤형 지원체계 강화를 목표로 ▲One-care 유성형 통합돌봄 ▲영유아 스마트 돌봄 서비스 확대 ▲장기 요양기관 등급제 도입 등을 추진한다. 기후 위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