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북

[납량특선(1)] 생생해서 소름 돋는 '조선괴담회'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8월호 발행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한국국학진흥원은 '납량특선 1-조선괴담회'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8월호를 발행했다. 등골이 오싹한 기운을 느낄 수 있는 선조들의 경험담을 통해 무더위를 잠시 잊기를 바란다.

 

죽은 첩이 귀신으로 나타났다

 

<유몽인의 첩 귀신, '애귀(愛鬼)' 이야기>에서 정솔미 교수(고려대학교)는 '어우야담(於于野談)'의 저자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이 기록한 '애귀전'을 살펴본다.

 

'애귀전'은 귀신이 된 유몽인의 첩 '애개'가 벌인 재앙과 이를 물리치려는 유몽인의 이야기이다. 애개는 유몽인의 정실부인을 저주한 사실이 발각되어 죽임을 당한다. 이후 애개는 귀신이 되어 유몽인의 집안에 온갖 괴이한 일을 벌이고, 유몽인과 그의 아들 유약은 이를 퇴치하기 위해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결국 애귀는 떠나간다.

 

'애귀전'이 특별한 이유는 첩 귀신을 본격적으로 다룬 작품은 드문데, '애귀'를 이야기의 중심에 두었다는 점이다. 또한 여러 귀신이 등장하며, 귀신의 작화(作禍)와 그를 물리치려는 과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1621년경 유몽인은 파직당하고 이곳저곳을 전전하며 몹시 어려운 처지에 처해 있었다. 2년 뒤 그는 누명을 쓰고 이 작품에 등장하는 아들 유약과 함께 처형당한다. 그러므로 당시 유몽인의 집안에 '첩의 귀신이 붙어 집안을 망친다'라는 인식이나 이에 따른 소문이 있었을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특히나 애귀는 여러 면에서 광해군의 애첩이었던 김개시(金介屎)가 연상되어, 당대 조정 및 광해군에 대한 비판 정신이 담겨 있다고 해석된다.

 

처녀 귀신의 역사 속 원형, 순군부군

<한국 전설 속 수사의 여신, 순군부군>에서 곽재식 작가는 '귀신'이라고 하면 흔히 떠올리는, 긴 머리를 풀어헤치고 소복을 입은 귀신의 원형을 찾아 나선다.

 

필자는 1610년 무렵 허균이 자신이 겪었던 일을 기록한 '순군부군청기(巡軍府君廳記)'에 주목한다. 허균은 꿈에서 본 순군부군을 '젊은 여성으로 아름다웠지만, 단장은 하지 않고 비녀를 꽂지 않은 헝클어진 머리에 얼굴을 찡그린 모습'이라고 기록하였는데, 이는 친숙한 처녀 귀신이 떠오른다. 또 순군부군이 억울하게 살해당한 원한이 더욱 깊어져 귀신이 된 후 재판의 여신이 된 부분은 오늘날의 원한을 품은 귀신 이야기와 잘 통한다.

 

한편, 우리가 알고 있는 여성 귀신 이야기가 그녀들의 원한을 용감한 사또가 풀어주는 이야기인 것과 달리, 흰옷이 아닌 황색 비단치마를 입은 순군부군은 직접 수사와 재판을 담당하는 자들의 꿈속에 등장, 진범을 알려 주겠다고 하며 주체적으로 나선다.

 

결국 작가는 정형화된 한국 귀신의 모습은 현대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급작스럽게 유포되는 바람에 굳건히 자리 잡은 한국 전통문화의 한 단면일 뿐이라고 결론짓는다. 옛 기록과 전통문화 속에 드러난 다채로운 귀신과 이야기의 여러 가지 양상은 그보다 훨씬 더 풍부하다고 전하며, 옛이야기 속의 소재를 다시 발견하고 새로운 여러 방향으로 전통을 활용하는 방향이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이타적인 귀신들의 마음 씀씀이

 

이외에도 웹진 담談에서는 '납량특선 1-조선괴담회'에 대한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룬다.

 

'스토리웹툰 독獨선생전' 8화 <은혜 갚은 양촌>에서는 고열에 시달리는 독선생이 마음을 쓰던 고향 후배와 그가 기르던 고양이가 나타나 '너는 살아날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고 사라진 이야기를 들려준다. '선인의 이야기, 무대와 만나다'의 <신이 된 일곱째 딸, 바리>에서는 산 자와 죽은 자를 이어주는 무당의 선조인 바리공주를 소개하며, 날이 갈수록 진화하는 바리공주 이야기를 만나볼 것을 권한다. '백이와 목금'의 <폐가에서 생긴 일>에서는 담력을 측정하고자 한밤중에 마을 폐가를 찾아간 세 남자아이가 실종된 사건을 다룬다.

 

웹진 담談 2024년 8월호는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윤병태 나주시장, ‘노벨물리학상 수상’ 노보셀로프 교수와 환담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나주글로벌에너지포럼 2025(NGEF 2025)’ 참가를 위해 나주를 방문한 201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싱가포르 국립대)가 16일 오후 나주시청을 방문해 윤병태 시장과 환담했다. 윤 시장은 이 자리에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에게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나주시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드린다”며 “이번 포럼이 에너지 대전환시대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를 꿈꾸는 나주의 비전을 실현하는 소중한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는 “나주글로벌에너지포럼 강연자로 초청받아 영광이고 나주시의 환대에 감사드린다”면서 “잠재력이 큰 대학인 켄텍에서 그래핀에 대해 강연할 수 있어 기쁘고 에너지 전환과 지속 가능한 지구 구현의 해법을 모색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는 17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에서 열리는 나주글로벌에너지포럼 2025 개막식에서 기조 연사로 나서는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는 그래핀(Graphene) 연구로 36세에 역대 두 번째 젊은 나이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물리학자이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