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대구시, WCRC 국제창작로봇경진대회 개최

대구시(시장 권영진)는 11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대구 엑스코에서 국내외 로봇경진대회 선수 및 관계자 1,000여 명을(국내 800, 해외 200) 초청해 ‘WCRC(World Creative Robot Contest) 국제창작로봇경진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WCRC 국제창작로봇경진대회‘는 대구시, 미래창조과학부, 대구컨벤션관광뷰로가 후원하고 사단법인 한국로봇교육콘텐츠협회가 주관하는 로봇경진대회로 2015년을 제1회 대회로 추진하기 위해 올해는 프리리그 형태의 시범대회로 대구국제로봇산업전(ROBEX2014) 부대행사로 열리게 된다. 

사단법인 한국로봇교육콘텐츠협회(회장: 한창수)는 2003년에 설립된 로봇경진대회, 교육인력양성, 로봇영재자격검정 등을 전문으로 하는 관록 있는 단체로 이미 2005년부터 미국 로보페스트 경진대회의 한국사무국으로 활동해 왔다. 국내에서 로봇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은 약 3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로봇경진대회는 매년 약 47개, 8천여 명의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에 개최되는 WCRC(국제창작로봇경진대회)는 기본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검증된 해외의 국제대회를 다수 도입하는 방향으로 기획되어 국내 로봇경진대회 및 선수 수준이 상향 평준화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이를 위해 오랜 협의를 통해 일본의 로보-원(Robo-One) 로봇격투대회의 도입을 완료하였다. 이 로보-원은 이번 WCRC대회에서 한국본선을 치른 뒤, 2015년 2월 일본 도쿄 과학미래관에서 일본선수들과 최종 본선대회를 갖게 된다. 

이 외에도 잘 알려진 해외 유수의 로봇경진대회 도입을 추진 중인데, 관계자의 안내에 따르면 2015년 1회 WCRC에는 현재 도입을 추진 중인 해외의 경진대회를 모두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또한, 이번 경진대회에는 푸짐한 포상 내역도 눈길을 끄는데, 3일간 진행되는 총13종목의 대회에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대구광역시장상, 국가기술표준원장상, 특허청장상,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상, 한국로봇교육콘텐츠협회장상 등 총 80매의 포상이 주어지며, 이 중 해외본선이 별도로 있는 종목은 해외본선 출전권도 함께 획득하게 된다. 시상식은 매일 경기 종료 후 곧바로 이루어진다. 

이번 경진대회는 개·폐회식을 생략하는 대신 대회 첫날인 11월 20일 오전 10시에는 실제 경기종목이기도 한 ‘로봇댄스’ 시범공연이 준비되어 있다. 

이 공연 직후, 곧바로 로봇댄스 경기가 진행되게 된다. 옆 스테이지에서 진행되는 로보-원 한국 본선의 경우,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아시아 로보-원 대회 챔피언이자 EBS 로봇파워에 고정 출연했던 전창훈 로보라이프 대표가 직접 해설을 맡게 된다. 

자세한 문의는 사단법인 한국로봇교육콘텐츠협회(070-7100-9447, http://www.reca.or.kr)로 문의하면 된다.

이수정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기업, 공급망 ESG 평가 의무화 및 녹색 전환 파이낸싱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테크노비전(TechnoVision)'이 오는 2026년부터 모든 1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를 의무화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녹색 전환을 위한 파이낸싱 지원을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강화되는 전 세계적인 ESG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분석된다. 테크노비전은 이번 발표에서 협력사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노동 인권 보호, 윤리 경영 시스템 구축 등 구체적인 ESG 목표를 달성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 협력사들이 ESG 전환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ESG 성과 연계형 대출 금리 우대, 녹색 기술 도입을 위한 보조금 지원 등 다양한 금융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는 단순한 평가를 넘어 실제적인 변화를 유도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의무가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사한 입법 논의가 활발히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