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6.5℃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9.6℃
  • 맑음인천 9.7℃
  • 맑음수원 7.9℃
  • 맑음청주 11.8℃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0.1℃
  • 맑음전주 11.1℃
  • 구름많음울산 11.7℃
  • 맑음광주 12.8℃
  • 구름많음부산 14.4℃
  • 구름많음여수 14.7℃
  • 흐림제주 16.3℃
  • 맑음천안 7.1℃
  • 구름조금경주시 8.7℃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IBK기업은행, 글로벌 핀테크 경연에서 한국 최초 수상… i-ONE Bank '모바일 앱' 부문 대상 쾌거

IBK기업은행, ‘2024 Finovate Awards’서 국내 은행 최초 대상 수상
i-ONE Bank, 혁신적인 UX/UI와 핀테크 기술로 글로벌 경쟁자 압도
디지털 전략 강화로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은 IBK기업은행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류승우 기자 | IBK기업은행이 세계적인 핀테크 시상식인 '2024 Finovate Awards'에서 '모바일뱅킹 앱' 부문 대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 금융기관의 위상을 높였다. i-ONE Bank는 뛰어난 사용자 경험과 핀테크 기술을 바탕으로 BNP Paribas, JP Morgan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국내 은행 최초로 이 영예를 안았다.

 

IBK기업은행, '2024 Finovate Awards' 모바일뱅킹 앱 부문 대상

IBK기업은행은 2024년 9월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Finovate Awards'에서 자사의 모바일뱅킹 서비스인 i-ONE Bank가 'Best Financial Mobile App' 부문에서 대상을 수상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국내 은행이 글로벌 핀테크 시상식에서 모바일뱅킹 앱 부문 대상을 받은 최초의 사례다.

 

전 세계 금융기관과 핀테크 기업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달성

이번 수상은 BNP Paribas, JP Morgan AWM, Finom, Payactiv 등 세계 유수의 금융기관과 핀테크 기업을 제치고 얻은 성과로, IBK기업은행의 디지털 뱅킹 혁신과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의미 있는 순간이다.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고객 중심의 서비스가 성공 비결

i-ONE Bank는 2019년 i-ONE Bank 2.0 출시 이후, 기능과 디자인(UX/UI)을 대폭 개선하고, 보안 및 핀테크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했다. 오픈뱅킹과 마이데이터 서비스 등 최신 핀테크 기술 도입을 통해 편의성과 안정성을 강화한 점이 이번 수상의 핵심 요인으로 평가된다.

 

김성태 은행장의 디지털 혁신 전략,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아
IBK기업은행 관계자는 "김성태 은행장이 강조한 디지털 경쟁력 강화 전략이 이번 수상의 밑바탕이 됐다"며, "고객과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앞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그림자 깊어지는 돌봄 공백, 정부 긴급 대책 추진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2025년 11월 4일,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에서 심각한 돌봄 공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두고 돌봄 수요 폭증과 인력 부족 심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며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의 변화는 돌봄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를 급증시키고 있으나, 현장의 돌봄 인력은 그 수요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다. 열악한 근무 환경, 낮은 임금 수준, 그리고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젊은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고 기존 인력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농어촌 지역과 취약계층에게는 돌봄 서비스 접근 자체가 더욱 어려운 현실이다. 정부는 현재 돌봄 인력의 처우 개선과 양성 시스템 확충에 중점을 둔 정책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는 돌봄 노동자의 임금 인상, 경력 개발 지원 프로그램 도입, 그리고 휴게 시설 확충 등을 통해 근무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요양보호사 등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