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산불감시 CCTV 실효성 논란, 최근 5년간 산불 발견율 0.3% 불과

정희용 의원, 감시 사각지대 최소화 촉구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곽중희 기자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발생한 전체 산불 3,199건 중 산불감시 CCTV로 발견된 산불은 8건(0.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부터 2024년 9월까지 산불 발생 건수는 연평균 600건 이상이었으나, 산불감시 CCTV로 발견된 건수는 매우 저조했다. 2023년에는 5건이 CCTV로 발견됐으나, 그 외 연도 대부분에서는 발견률이 1% 미만에 그쳤다.
 

 

특히, 전라북도와 충청북도 등 일부 지역에서만 미미한 성과가 있었으며, 20개 시도와 지방산림청 중 대부분 지역에서는 CCTV로 산불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전국에 설치된 산불감시 CCTV는 1,446대이며, 매년 약 18억 원의 예산이 노후 카메라 교체와 유지보수에 사용되고 있다. 정희용 의원은 “산불감시 CCTV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며, 감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CCTV 자동회전 기능 등의 개선책을 통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기반 사이버보안 위협 증가 및 대응 방안 논의 활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AI 기반 사이버보안 위협이 급증하고 있다. 이는 AI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피싱 공격, 악성 코드 생성 등에 AI 기술이 활용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기업과 개인 모두 심각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기존의 보안 시스템은 이러한 새로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AI 기반 공격은 변종 속도가 빠르고 지능적이기 때문에, 기존의 규칙 기반 시스템으로는 탐지 및 차단이 쉽지 않다. 따라서 AI를 활용한 보안 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AI 기반의 차세대 보안 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악성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공격 패턴을 예측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AI를 활용하여 보안 취약점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패치하는 기술도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AI 기반 보안 시스템의 개발과 도입에는 여전히 과제들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