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투라야, 최고 성능의 위성전화 '투라야 XT-라이트’ 공개

세계 굴지의 모바일 위성 서비스(MSS) 사업자인 투라야 텔레커뮤니케이션즈(Thuraya Telecommunications Company)는 가격 대비 최고의 성능을 제공하는 위성 전화 ‘투라야 XT-라이트’(Thuraya XT-LITE)를 출시했다. 저가형 위성전화인 ‘투라야 XT-라이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비용으로 즉석 위성 연결을 제공한다. ‘투라야 XT-라이트’는 투라야의 방대한 위성 네트워크에서 위성모드로 전화를 걸고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라시드 바바(Rashid Baba) 투라야 제품 담당 이사는 “투라야 XT-라이트는 지상파 네트워크가 서비스되지 않는 지역에서 업무나 여행 중 단순한 위성 전화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수요에 대처한다”며 “사용자들은 어디를 가든 언제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를 원하며 투라야는 이들에게 가장 믿을 수 있고 저렴한 방식을 지원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알렉산더 라흐너(Alexander Lachner) 투라야 음성 서비스 담당 수석 제품 매니저는 “일반 사용자를 위해 시장 중심의 위성 단말기를 제공하게 됐다는 데 자부심을 느낀다”며 “투라야XT-라이트는 투라야 XT와 샛슬리브(SatSleeve)와 같은 우리의 선구적인 혁신 단말기의 유산 위에 구축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XT-라이트를 앞세워 미개척 분야를 공략함으로써 위성전화가 기업이나 정부 사용자를 위한 것이라는 낡은 인식을 타파할 계획이다”며 “투라야 XT-라이트의 추가로 기존 주력 제품인 전문가 및 기업 부문용 투라야XT를 계속 제공하는 한편 가치를 중시하는 일반 사용자를 위해 투라야XT-라이트를 제공하는 이중 전략이 힘을 받게 됐다”고 전했다.

사용자들은 ‘투라야XT-라이트’를 이용해 지상파 네트워크로 서비스되지 않거나 서비스가 미흡한 대부분의 외지에서 상시 연결이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됐다. 이 단말기는 자연재해로 지상파 통신이 불가능해진 벽지에 위치한 이들을 위한 보안 백업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투라야 XT-라이트’는 지구촌의 3분의 2에 달하는 세계 160여 개국을 커버하는 투라야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제품은 투라야 SIM 카드나 투라야의 전 세계 360개 GSM 로밍 파트너의 SIM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투라야 XT-라이트’는 2014년 12월 15일부터 투라야 서비스 파트너를 통해 제공된다.
이재현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기반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및 대응 전략 강화 필요성 부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새로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AI 기반의 지능형 지속 위협(APT) 공격은 그 정교함과 은밀성으로 기존의 보안 시스템을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AI는 악성코드 생성, 피싱 공격 자동화, 취약점 탐색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의 발전은 악성코드의 변종을 빠르게 생성하고,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피싱 메일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고도화된 공격은 기존의 규칙 기반 보안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렵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기반의 지능형 보안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교육을 통한 인적 요소 강화도 중요한 부분이다. 피싱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