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한글, 놀이로 즐겨요

한글문화특별기획전 연계 어린이 체험전시…다음달 14일까지 열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와 세종시문화관광재단, 국립한글박물관이 함께 준비한 한글문화특별기획전 연계전시 ‘한글, 놀이가 되다’가 다음달 14일까지 계속된다.

 

2024 한글문화특별기획전은 ‘세계를 잇는 한글문화도시, 세종’을 주제로 한 전시로, 세종시 국립박물관단지의 통합운영센터, BRT 작은미술관, 박연문화관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중 박연문화관에서는 ‘한글, 놀이가 되다’라는 이름으로 어린이가 신나게 놀면서 오감을 통해 한글의 원리를 익히는 국내 유일 실감형 한글 체험 전시인 ‘한글놀이터’를 운영하고 있다.

 

한글놀이터는 2021년 3월 재개관한 국립한글박물관의 우수 콘텐츠로 1일 7회 전 회차가 매진될 정도로 인기가 높고 월평균 8,000명 이상이 방문할 정도로 어린이와 부모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번에 세종에서 열리는 한글놀이터는 ‘나의 특별한 하루’를 주제로 어린이들에게 한글과 함께하는 특별한 하루를 선사하고 있다.

 

세부 프로그램으로는 ▲한글 젤리 조형물 ▲한글을 활용한 간판 만들기 ▲미로 속에서 글자 찾기 게임 ▲어린이의 말이 한글 젤리로 변환되는 영상 체험 ▲한글 블록 체험 등을 즐길 수 있다.

 

여기에 지역작가와 함께하는 예술 체험과 상시 놀이 프로그램 등 더욱 풍성한 지역 콘텐츠가 제공돼 어린이와 부모들로부터 호평을 얻고 있다.

 

지역작가 김사랑의 ‘한글을 담은 도자(도자기 접시 만들기)’, 정선희의 ‘한글로 뭉치고 펼치고(입체 조형물 만들기)’, 김미라의 ‘한글 나무 그리기(회화기법 배우기)’는 사전 신청을 통해 체험할 수 있다.

 

한글펀치를 활용한 글자 만들기, 한글 캐릭터 색칠놀이, 한글박물관 활동지, 한글아 놀자는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관람객이 상시로 체험할 수 있다.

 

시는 사람과 지역과 세계를 잇는 대한민국 대표 한글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교육·놀이, 예술, 도시경관 등 다방면에서 한글의 가능성을 재발견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민호 시장은 “‘한글, 놀이가 되다’는 우리 아이들이 신나게 놀면서 한글을 이해하고 가족, 친구와 다양한 생각을 나누는 장이 될 것”이라며 “많은 시민들께서 한글문화가 우리의 일상 속에서 얼마나 즐겁게 창작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한글문화특별기획전은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월요일은 휴관이다. 관련 문의는 세종시문화관광재단으로 하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낮에는 자원순환, 밤에는 조선체험으로 보낸 김제의 특별한 주말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9월의 첫 주말 김제시가 시민과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2일간 김제시민문화체육공원에서 ‘제3회 김제 자원순환 새로보미 축제’가 개최됐다. ‘새로보미 축제’는 5개 분야에 걸쳐 총 80개의 다채로운 자원순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축제다. 특히, 고장 나거나 쓸모 없어진 물건들, 재활용품 등 폐자원을 활용해 만든 예술작품인 ‘정크아트’전시는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어른들에게 색다른 감동을 선사했다. 또, 단순히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콘텐츠를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행사 운영 전반에 친환경 원칙을 적극 반영해 자원순환의 가치를 직접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진행돼 관람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원순환을 실천하도록 유도했다. 더불어, 환경부 주최 정부 공식행사인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을 지난 5일 “탈플라스틱, 지구를 위한 약속”을 주제로 진행되며 그 의미를 더했다. 이번 ‘제17회 자원순환의 날’행사는 수도권 중심 방식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