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겨울철 대표 먹거리 1위 ‘붕어빵’


20대이상 성인남녀가 생각하는 겨울철 대표 먹거리로 ‘붕어빵’이 꼽혔다. 특히 여성은 ‘붕어빵’을 남성은 ‘군고구마와 군밤’을 겨울철 대표 먹거리로 뽑아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였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성인남녀 865명을 대상으로 <겨울철 대표 먹거리>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중 6명(57.7%)이 ‘붕어빵’을 1위로 꼽았다.  성별로 나눠보면 여성은 61.1%가 붕어빵을, 남성은 47.8%는 군고구마와 군밤을 1위로 꼽았다.

여성은 붕어빵 다음으로 △군고구마&군밤(49.1%), △호떡(34.7%), △찐빵(34.1%), △오뎅&떡볶이(29.3%)을 꼽았고, 남성은 군고구마&군밤 다음으로 △붕어빵(47.5%), △찐빵(39.7%), △오뎅&떡볶이(29.2%), △호떡(23.3%) 순으로 답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순위의 차이가 있었지만 1위부터 5위까지 군고구마&군밤, 붕어빵, 호떡, 찐빵, 오뎅&떡볶이로 모두 같은 음식이 엎치락뒤치락 했다.


왜 그 음식을 선택했냐는 물음에는 공통적으로 ‘겨울에 먹어야 더 맛있는 것 같다’거나 ‘따뜻해서’, ‘값싸고 먹기 편해서’라는 순으로 답변이 이어졌다.


선호하는 겨울 음식을 유형별로 나눠본 결과(*복수응답)는 남녀 모두 떡볶이, 오뎅, 붕어빵 같은 스트리트형 음식(53.3%)을 1위로 선택했다. 2위는 군고구마와 군밤 같은 화로형(44.4%), 3위는 우동이나 국밥, 찌개 같은 뚝배기형(34.4%), 4위는 커피나 핫초코 같은 티타임형(33.1%), 5위는 찐빵이나 호두과자, 만두 같은 한입간식형(22.5%)이 차지했다.


또한 사람들이 겨울 음식이 가장 생각나는 시간으로는 남녀 모두 △퇴근시간(38.4%)을 꼽았다. 그 다음은 △저녁시간(20.5%), △밤이나 새벽(18.5%), △일과시간(6.5%) 순으로 집계되었다.

실제로 겨울 음식을 먹는 시간을 조사한 결과, 겨울 음식이 가장 많이 생각나는 시간은 △저녁시간(39.3%)인 것으로 나타났다. 퇴근시간(31.8%)은 두 번째였고, △주말이나 쉴 때(10.9%), △밤이나 새벽(9.9%)이 그 뒤를 이었다. 재미있는 것은 밤이나 새벽에 생각난다는 응답의 비율보다 실제로 먹는다는 답변의 비율이 반 정도 낮았다는 것이다. 즉, 다른 시간들과 달리 밤과 새벽은 먹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에 비해 실제로 먹는 일은 적은 것이다.

이어서 겨울 음식을 먹는 장소에 대해 물었다. 사람들이 겨울 음식을 가장 많이 먹는 장소는 △집(47.2%)이었으며 그 다음은 △길거리(38.9%)로 나타났다. 겨울 음식을 먹는 장소는 이렇게 집과 길거리가 90%가까이를 차지했다. △식당(9.5%)이나 △회사(2.5%)에서 주로 먹는다는 답변은 아주 낮게 나타났다. 
 
이해성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내 주요 기업들의 3분기 실적 전망과 시장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2025년 3분기, 국내 주요 기업들의 실적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반도체 업황 부진의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IT 기업들의 실적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내수 중심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선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들은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의 직격탄을 맞아 실적 부진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익성 개선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회복 시점이 불확실하여 단기적인 실적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자동차, 제약, 식품 등 내수 시장에 기반을 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소비 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필수재 소비는 꾸준히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친환경 자동차 부문의 성장세는 자동차 기업들의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반적인 경기 침체의 여파는 내수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소비 위축은 이윤 폭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정부의 경기 부양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