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박무인천 26.9℃
  • 구름조금수원 28.8℃
  • 맑음청주 29.3℃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맑음전주 32.5℃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많음여수 27.5℃
  • 맑음제주 29.6℃
  • 구름조금천안 27.7℃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고려아연, 반도체황산 탄소발자국 인증 획득… "2050년 탄소중립 비전 본격화"

"탄소중립 목표 본격화… 반도체황산까지 인증 확대"
"국내 시장 점유율 65%… 반도체 공정 핵심소재 선도"
"글로벌 규제 대응과 ESG 경영 선도하는 친환경 기업"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용두 기자 | 국내 비철금속업계를 선도하는 고려아연이 반도체 생산 핵심 소재인 반도체황산에 대해 탄소발자국(Product Carbon Footprint) 인증을 획득하며, 글로벌 친환경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고려아연, 아연·은·동 이어 반도체황산까지 인증 확대
고려아연은 반도체황산의 탄소발자국 인증을 획득하며, 아연, 은, 동에 이어 네 번째 인증 성과를 달성했다. 이번 인증은 영국의 글로벌 기후변화 전문기관인 카본 트러스트(Carbon Trust)가 주관했으며, 서울 본사에서 인증서 수여식이 진행됐다.

 

반도체 생산공정 필수 품목, 국내 시장 65% 책임
반도체황산은 웨이퍼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필수적인 고순도 소재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98% 공급하며 국내 반도체황산 시장의 65%를 점유하고 있다. 연간 24만 톤 규모의 생산량으로 세계 최대 수준을 자랑한다.

 

전 과정평가(LCA) 기반 데이터로 탄소중립 로드맵 구체화
고려아연은 2050년까지 제품 전 생애주기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 메탈(Green Metal)' 생산을 목표로, 친환경 원료 도입과 공정 혁신, 신재생 에너지 확대 등 다양한 탄소 감축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반도체황산 인증은 이러한 로드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탄소국경세 등 글로벌 환경 규제 대응… 업계 모범 사례
고려아연은 이번 인증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친환경 제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특히 탄소국경세(CBAM) 등 강화되는 환경 규제에 발맞춰 업계의 ESG 기준을 선도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전망된다.

 

체계적 데이터 관리 모범
카본 트러스트, "비철금속 업계의 벤치마크"
카본 트러스트 인증본부 탐 컴버러지 이사는 "고려아연은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와 탄소 배출량 산정 능력을 갖췄다"며, "비철금속 업계의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고려아연 김기준 부사장은 "글로벌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지속 가능한 경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탄소 감축 활동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고려아연의 이번 반도체황산 탄소발자국 인증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비전을 보여주는 사례로, 글로벌 친환경 메탈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여주시, 신청사 건립 부지 현장 점검 실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여주시는 지난 26일 오후, 여주시 가업동 일원에 위치한 신청사 건립 예정 부지에서 '여주시 신청사 건립사업' 관련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이날 현장에는 이충우 여주시장을 비롯해 박두형 여주시의회의장, 조승제 공약이행 평가단장, 부시장 및 관계 공무원, 인근 주민들이 참석했다. '여주시 신청사 건립사업'은 여주시 가업동 9-3번지 일원에 지하1층 ~ 지상7층, 전체 연면적 약 32,915㎡ 규모의 공공청사를 건립하는 대형 행정 인프라 조성 사업이다. 여주시는 조달청과 맞춤형서비스 약정체결 후 기본설계 기술제안 방식의 입찰을 추진 중이며, 2025년 하반기 착공,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신청사 건립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사업 부지에 편입되는 토지 및 지장물에 대한 손실보상 협의는 약 90% 완료된 상태다. 미협의 대상에 대해서는 올해 안으로 수용재결 절차를 거쳐 보상을 완료할 예정이다.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될 예정이었던 신청사 건립 관련 시설공사비 50억 원이 삭감됐으나, 향후 제2회 추가경정예산에 해당 예산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