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행복하고 편안한 모유수유를 위한 방법


아기들은 배가 고프기 시작하면 엄마에게 신호를 보낸다. 입맛을 다시거나, 혀를 날름거리거나 고개를 좌우로 돌리면서 젖을 찾는 시늉을 하고 손을 빨기도 한다. 우는 것은 이미 늦은 신호이기 때문에 아기가 울 때까지 기다려서는 안 된다.

올바른 수유 자세

수유 시에는 편안한 의자에 앉고, 의자는 허리를 잘 지지해야 하며 발바닥이 완전히 바닥에 닿아 허벅지가 수평이 되게 앉아야 한다. 그리고 허벅지에 베개나 수유쿠션을 두고 아기가 쿠션 위에 누웠을 때 아기의 몸높이가 엄마의 유두 높이와 같게 하는 것이 좋다. 아기의 머리와 몸통은 모두 엄마의 유방을 향하게 한다. 간혹 몸은 똑바로 눕힌 채 고개만 옆으로 돌려 수유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자세는 아기가 젖을 삼키기 힘들게 된다. 따라서 아기의 몸 전체를 옆으로 눕혀 귀와 어깨 그리고 엉덩이 관절이 일직선이 되게 하고 아기의 배가 엄마의 배와 닿게 해야 한다.

젖 물리기 방법으로는 아기를 안고 뺨이나 입술을 건드려 입을 벌리게 하고, 입을 최대한 벌렸을 때 젖을 물린다. 아기가 처음에 잘 물지 못할 때에는 엄마의 손가락으로 아기의 턱을 아래로 잡아당겨 주거나 윗입술을 벌려주어야한다. 양쪽 가슴을 번갈아가며 먹이면 젖 분비 호르몬의 작용에 의하여 유선체가 수축되어 밀려 나오는 젖을 아기는 받아먹게 되어 빠른 시간에 더 적극적으로 많은 양을 수유하게 된다. 수유 총 시간은 30~40분이 넘지 않게 해 엄마와 아가 모두 지치지 않도록 한다.


올바른 수유 방법

수유 시 밝지 않은 조명과 아기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24~26℃ 내외의 온도가 적당하며 젖 먹는 동안 힘을 쓰면 땀이 많이 나므로 두꺼운 이불 한 장보다는 두 세 겹의 얇은 이불을 덮어주는 것이 좋다. 아기의 뺨에 보조개가 생기거나 혀를 차는 것 같은 소리가 들리면 잘못 물린 것이다. 잘못 물린 경우는 습관이 되지 않게 다시 물려야하며 젖에서 아기를 떼어낼 때에는 아기의 입 가장자리에 새끼손가락을 살짝 입안에 넣으면 진공상태와 같았던 입안에 공기가 들어가면서 떼어 내기 쉽게 되고 손가락과 함께 유두를 빼내면 유두의 통증, 상처를 예방 할 수 있다.

처음 6주까지는 2시간에 한 번 정도 수유하는 것이 적당하며 밤에도 아기가 4시간 이상 잔다면 중간에 깨워서 수유하는 것이 좋다. 유두 아래쪽에 생긴 통증은 아기가 아랫입술로만 빨거나 유방의 위쪽 젖만 많이 먹고 있는 경우이므로 젖을 무는 방법이나 아이의 위치를 교정해 주어야 한다.

유두 끝에 생긴 통증은 아기가 입안 깊숙이 젖을 물지 않았거나 아이의 아구창과 설소대단축증을 의심해 봐야하며 충분히 물 수 있도록 교육 해주고 아이의 입안을 살펴본 후 아구창이 있다면 치료해 주어야 한다. 유두 전체가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아기가 혀를 오므리거나, 아기가 혀끝을 말아 올려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수유자세나 젖 물리는 방법이 적절하지 못해 발생하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빠른 시간 안에 교정하도록 한다.
 

김혜정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강진군, 노후주택 200가구 화재 예방 '긴급 점검' 돌입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이권희 기자 | 강진군은 지난 6일부터 오는 9월 6일까지 한 달간, 관내 11개 읍면의 우리동네 복지기동대와 119생활안전순찰대가 협력해 화재에 취약한 노후주택 200가구를 대상으로 긴급 화재예방 점검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난 6월 부산에서 발생한 노후주택 화재로 어린 자녀들이 안타깝게 목숨을 잃은 사건을 계기로 추진된 것으로, 화재에 취약한 가구에 대한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군은 준공된 지 20년 이상 지난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 80여 곳을 포함해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노후주택 130여 곳을 집중 점검 대상으로 정했다. 점검 대상 가구에는 누전 차단 멀티 콘센트를 교체하고, 화재 진압용 ‘소화패치’를 부착하는 등 실질적인 화재예방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강진원 군수는 “화재는 철저한 사전 예방만으로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재난”이라며 “앞으로도 복지기동대와 소방서 간 긴밀한 협업체계를 통해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안전한 강진군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동네 복지기동대는 ‘이웃의 어려움은 이웃이 살핀다’는 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