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삼단봉 사건, 논란이 되자 가해자는 사과문까지

 

삼단봉 사건에 대한 동영상이 공개되자 비난여론이 빗발쳤고 가해자는 결국 사과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8일 인터넷 자동차 커뮤니티 게시판에 '가진 자의 횡포(고속도로 터널 안)'라는 제목으로 한 편의 블랙박스 영상이 공개됐다.

공개된 영상에서는 끼어들기 양보를 안한 운자자의 앞길을 거칠게 막고 터널안에서 삼단봉을 꺼내 위협을 가하는 가해자 모습이 공개돼 수많은 사람들의 비난을 받았다.
 
피해자는 이런 영상을 경찰에 신고했지만 경찰은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고 이에 화가난 피해자가 인터넷 블랙박스 동영상을 공개함으로써 일파만파로 커지게 된것이다. 결국 피해자의 행동으로 경찰이 강력하게 조사하게 되었고 가해자는 급기야 같은 게시판에 사과문을 남기게 됐다.

가해자로 보이는 이가 쓴 게시물에는 "피해자 분이 연락해주시면 어떤 식으로라도 사죄드리겠고 법적인 문제도 책임지겠다"며 "이미 저질러 버린 일이지만 이렇게라도 사과를 드려야 할 것 같아 염치없지만 글을 남겼다"고 말해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경찰서 관계자에 따르면 '삼단 봉으로 때릴 듯이 위협한 것은 폭력 행위 등 처벌에 대한 법률 위반에 해당하는 것이고, 그것으로 차량을 파손시킨 행위는 재물 손괴죄로 해서 일반 재물손괴가 아니라 위험한 물건으로 파손한 것이기 때문에 형법상 특수 손괴죄'로 처벌받을 수 있음을 밝혔다.

 이재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기반 사이버 보안 위협 증가 및 대응 전략 강화 필요성 부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김민제 기자 |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새로운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AI 기반의 지능형 지속 위협(APT) 공격은 그 정교함과 은밀성으로 기존의 보안 시스템을 쉽게 우회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된다. AI는 악성코드 생성, 피싱 공격 자동화, 취약점 탐색 등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의 발전은 악성코드의 변종을 빠르게 생성하고, 인간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피싱 메일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고도화된 공격은 기존의 규칙 기반 보안 시스템으로는 방어하기 어렵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AI 기반의 지능형 보안 시스템 도입이 필수적이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고, 공격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 교육을 통한 인적 요소 강화도 중요한 부분이다. 피싱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링크를 클릭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정보 공유와 공동 대응